“서울, 아시아의 새로운 패션의 창”
세계 3대 컨설팅업체 중 하나인 베인앤컴퍼니(Bain&&Company)는 최근 한국을 ;패션, 명품의 트렌드세터이자 여론주도층(influencer);으로 묘사했다. 이를 증명하듯 세계 일류 명품 업체들은 한국 시장 공략에 열을 올리고 있다.지난 5월, 샤넬의 크루즈컬렉션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렸다. 이는 한국에서 열린 첫 샤넬 쇼였다. 6월에는 크리스챤 디올이 세계 최대 규모인 6층짜리 플래그십 스토어 ;하우스 오브 디올;을 서울에 개장했다. 디올과 루이비통을 소유한 세계 일류 명품 기업 LVMH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한국의 케이팝 산업에 직접 투자했다.이 현상에 주목한 프랑스 통신사 AFP는 7일 ;서울, 아시아의 새로운 패션의 창;을 보도했다. AFP는 주요 글로벌 패션 업체들이 아시아 공략을 위해 한국에 대한 비중을 높였다며 ;한국, 도쿄, 싱가포르를 지나 이제 서울이 아시아의 새로운 패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또 통신은 유명 패션 전문 기자인 수지 멘키스가 지난 7월, 한국 방문 당시 ;명품 브랜드들이 한국, 특히 서울을 쇼핑의 중심지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언급한 점을 전했다. 전 세계 럭셔리 브랜드 CEO와 패션 디렉터들이 모이는 ;컨데나스트 럭셔리 컨퍼런스;를 주관하는 수지 멘키스는 내년도 컨퍼런스 개최지로 서울을 선택했다.▲ AFP기사 이미지;지드래곤, 한류 붐의 포스터 차일드;한국은 아시아 진출의 완벽한 출발점;유명 디자이너 이상봉은 AFP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유명해지면 금방 아시에 전역에서 인기를 끈다는 사실을 명품 업체들이 인식하기 시작했다;며 ;현재 서울은 패션업계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목하는 곳;이라고 밝혔다.영국 소비자 연구 기관인 스타일러스의 한국 대표 케이트 안도 같은 의견을 내놓았다. 그녀는 ;명품 브랜드들이 아시아 시장에서 소비자 심리를 파악하는데 한국이 사실상 발판 역할을 해왔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은 작은 나라지만 중국 시장과 그 너머까지 진출하기에 완벽한 출발점이라며 ;최근 수 년 동안 한국 화장품 제조업체에 투자하기를 원하는 유럽과 미국 기업들의 제안서 세례가 쏟아지고 있다;고 전했다.AFP는 패션 브랜드들을 사로잡은 한국의 매력으로 한류를 들었다. 한국의 음악과 방송이 큰 인기를 끌고 있어 한국을 통하면 다른 국가들과 그 너머까지 이르는 홍보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통신은 ;별에서 온 그대;에서 전지현이 신은 지미 추 신발이 아시아 전역에서 완판을 기록한 것과 전지현이 사용한 제품으로 소문난 입생로랑 틴트가 중국에서 불티나게 팔린 것을 예로 들었다.AFP는 지드래곤을 한류 붐의 ;포스터 차일드;로 소개했다. 또 지드래곤이 아시아 전역과 그 외 지역에서 수 백 만 명의 팬을 거느리고 있어 그가 애용하는 제품들은 팬들 사이에서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 낸다고 설명했다. AFP는 지드래곤이 현재 아시아 뿐 아니라 파리, 런던에서 열리는 패션쇼에서 늘 가장 앞쪽에 앉고 있으며 케이팝 전문 웹사이트에서 화제의 중심이 되는 인물이라고 덧붙였다. 글-외신협력과 안세희 2015.09.11 | 조회수 3,567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