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게시일
2018.03.06

‘미투 운동’ 한국에서도 확산

180306_metoo_700.jpg

▲ ‘3.8 세계 여성의 날’을 앞두고 4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34회 한국여성대회'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미투(#MeToo) 운동’ 구호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강가희 기자 kgh89@korea.kr

미국 할리우드에서 지난해 10월 시작된 ‘미투(#MeToo) 운동’이 한국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미투 운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해시태그(#)를 다는 행위를 통해 성폭력 피해자들이 사회 전반에 만연한 성폭력 실상을 고발하는 연대 캠페인이다.

한국의 미투 운동은 지난 1월 현직 여검사가 검찰 내의 성폭력 사건을 내부통신망에 고발하면서부터 본격화됐다. 이후 미투 운동은 시인, 연극 연출가, 배우 등 문화예술계의 성추문 폭로에 이어 교육계, 산업계, 의료계 등 전 방위에서 진행 중이다.

이 현상에 대해 변혜정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원장은 “국내에서는 1983년 폭력•피해여성을 위한 상담 ‘한국여성의 전화’와 1991년 '한국성폭력상담소' 개소 이후 피해자가 외부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장(場)이 존재했다”며 “성폭력 문제에 대해 말하고 성숙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이 있었기에 한국도 미투 운동이 빠르게 촉발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여론의 지지도 높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지난 2월 19일부터 22일까지 내국인 성인남녀 1,063명 대상 ‘미투, 위드유 운동에 대한 입장’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인 88.6%가 미투 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가 넘는 인원이 지지이유로 '우리사회에 만연해 있는 성폭력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든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해서’라 답했다.

또한 전체 70%가 넘는 응답자들이 성폭력 문제의 본질을 '권력관계'에서 찾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가해자에 대한 징계'와 '처벌 강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

한국정부는 “미투 운동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면서 지난 2월 27일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근절 보완대책’을 마련했다.

대책안에 따르면 공공부문부터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공무원은 엄격한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일정 벌금형 이상의 선고를 받아 형이 확정되면 즉시 퇴출된다. 또한 ‘성희롱․성폭력 특별신고센터’가 3월부터 100일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성폭력 대책 범정부 협의체가 구성돼 5천여개 공기관을 대상으로 단계적 특별점검이 실시될 예정이다.

한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미투 운동이 한국 성평등 의식과 여성인권 해결의지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 코리아넷 뉴스의 저작권 정책은 코리아넷(02-2125-3501)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