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에 담긴 조선 공주의 혼례와 삶
▲ 순원왕후가 1838~1843년 사이에 사위 윤의선에게 쓴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편지. 딸 덕온공주의 건강을 염려하며 약을 지어 보내는 어머니의 마음이 담겨 있다. 시집간 공주는 궁 출입이 제한되어 순원왕후는 사위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덕온공주와 안부를 주고 받았다.;장마철 더위가 심하니 (염려) 떨쳐 버리지 못했는데, 더윗병으로 깨끗이 낫지 않았는가 싶으니 오늘은 어떠한지 염려하며, 덕온도 일전 두드러기 기운이 있고 날이 더워 그러한지 무엇 때문에 그런지 뒤척이고;;조선 23대왕 순조(純祖, 재위 1800~1834)의 왕비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가 사위인 윤의선(尹宜善, 1823~1887)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이다. 사위 편으로 보낸 순원왕후의 편지에는 두드러기에 눈병 기운도 있는 딸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의 안부와 함께 의원에게 물어 약을 지어보내는 어머니의 깊은 사랑이 담겨 있다.이 편지는 국립한글박물관에서 13일 개막하는 기획특별전 ;1837년 가을 어느 혼례날 덕온공주 한글자료전;에 소개된 편지글의 일부이다. 이 전시는 순조의 막내딸이자 조선의 마지막 공주인 덕온공주의 혼례 관련 미공개 한글 자료를 만나볼 수 있다. 1백80년 전 공주의 실제 혼례날인 1837년 9월 13일에 맞춰 개막하는 이번 전시에서는 덕온공주의 혼례 및 혼인생활 관련 한글 자료 및 19세기 왕실 여성의 혼례, 한글 문화뿐만 아니라 시집간 딸에 대한 어머니 순원왕후의 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순원왕후가 덕온공주에게 1837년에 보낸 혼수 발기의 일부. 길이 5.5m로 길게 말린 이 문서에는 노리개 등 장신구, 가위, 단추 같은 바느질도구, 대접, 사발 등 식기와 붓, 벼룩 등 문구류 등 2 백여 개의 혼수품에 대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전시는 ;1837년 덕온공주의 혼례,; 2부 ;덕온 공주의 혼인 생활;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덕온공주가 16세가 되던 해 치러진 혼례에 대한 내용이 소개된다. 어머니 순원왕후가 딸과 사위 앞으로 준비한 혼수품 발기(사람이나 물건의 이름, 발신자와 수신자의 기록)와 노리개, 단추, 사발, 대접, 바느질 도구 등 실제 혼수 물건 등을 볼 수 있다.2부에서는 덕온공주의 살림집인 저동(현재 서울 중구)에서의 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 시집 간 덕온공주와 순원왕후가 안부를 주고받은 한글 편지, 책을 읽고 글씨 쓰는 것을 즐긴 덕온공주가 보고 베껴 썼던 책 등이 눈길을 끈다.▲ 전시에는 덕온공주가 보고 필사한 책들도 소개됐다. 덕온공주는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해서 혼례 뒤 약 4천권 이상의 책을 저동의 집으로 가져갈 정도였다. 관람객들이 덕온공주의 책을 살펴보는 모습.전시장 곳곳에는 증강현실 기술이 탑재된 태블릿PC 등 시청각 기기들이 비치되어 전시내용 관련 영상이나 사진자료, 편지의 주요 내용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김철민 국립한글박물관장은 ;덕온공주 혼수 발기는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공주의 혼수발기로 이번에 최초로 공개되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딸에 대한 엄마의 애틋한 정과 조선시대 당시 왕가의 품격 있는 문화생활을 엿볼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윤소정 코리아넷 기자사진 윤소정 코리아넷 기자, 국립한글박물관arete@korea.kr▲ 전시장에는 증강현실(AR) 기술이 탑재된 태블릿PC 등 시청각 기기들이 비치되어 편지 등 전시품의 주요 내용을 자료 원문과 함께 관람할 수 있다. 순원왕후의 편지를 태블릿PC로 읽는 모습(위), 덕온공주의 혼수 발기 영상을 감상하는 모습.▲ 덕온공주의 혼수품이었던 노리개. 2016.09.12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