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가디언, 한국 최승자 시인 소개
;한국 문학계의 우상(iconic figure);, ;1980년대 한국 시(詩)의 대명사;영국 일간지 가디언(The Guardian)은 한국 시인 최승자에 대해 이렇게 묘사했다. 가디언은 지난 1월 24일 ;화요 번역문학(Translation Tuesday); 코너에 최승자의 작품을 영어로 번역해 소개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지난 1월 24일 전세계 문학작품을 영어로 번역해 소개하는 ;화요 번역문학; 코너에 시인 최승자의 작품 세 편을 소개한 기사.총 세 편의 시가 실렸다. ;두 편의 죽음(Two Kinds of Death);, ;버려진 거리 끝에서(At the End of the Deserted Street), 그리고 ;무서운 초록(Fearful Green);이다. 번역은 김래이(Lei Kim)가 맡았다.두 편의 죽음뜬소문처럼 뜬구름처럼청파동 하숙집 아저씨가 돌아가시고아침의 검은 전화 벨이 울립니다.밥상머리에서 문득어머니 아버지라는 종족은 그리운물의 精(정) 불의 精(정)으로 녹아 버리고밥과 국이 한 목소리로 고인의생전의 말씀을 읊조립니다.欲死欲死(욕사욕사)怏怏發狂(앙앙발광)청천하늘에서 검은 배가 다가온다.우주의 습기를 가득 품고외계의 모르스 부호를단속적으로 흩날리며죽음은 우리에게 메시지를 보낸다.어느 날 맨하탄에서존 레논은 죽고고인이 된 목소리만 떠돌아다닌다.마마 돈 고우대디 컴 홈Two Kinds of DeathLike a rumor or drifting cloudthe lodger in Cheongpa-dong passes awayand morning;s black phone call rings.Suddenly at the edge of the dining tablethe species of mothers and fathersmelt into the longing spirit of water and firethe rice and soup in a chorusrecite the deceased;s prehumous words:Wishing to dieyet going madA black boat appears from the blue sky.Full of cosmic humiditytransmitting an extraterrestrial Morse codeon and offDeath sends us a message.Someday in ManhattanJohn Lennon dies andthe voice of the dead is floating.Mama don;t goDaddy come home 가디언은 최승자의 작품에 대해 ;고도의 시적 기교로 묘사한 인간의 존재에 대한 절망감은 시대와 문화를 초월한다(The existential despair captured in broad bravura strokes here transcends both culture and era);고 평했다.나머지 두 편에 대한 번역시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https://www.theguardian.com/books/translation-tuesdays-by-asymptote-journal/2017/jan/24/translation-tuesday-three-poems-by-choi-seung-ja?CMP=share_btn_link 한편, 매주 화요일 전세계 문학작품들을 영어로 번역해 소개하는 ;화요 번역문학; 코너는 올 한해 동안 김기택, 문태준, 유안진 등 총 7명의 한국 시인들의 작품을 영어권 독자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손지애 코리아넷 기자사진 가디언jiae5853@korea.kr 2017.02.07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