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527

페이지 939 / 1253

  • 국립공원에서 전하는 봄꽃 소식

    국립공원에서 전하는 봄꽃 소식

    꽃과 함께 봄이 오고 있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국립공원의 봄꽃개화소식과 함께 국립공원 별 야생화 관찰시기, 장소 등 봄철 국립공원 탐방정보를 공개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에서 지난 달 4일 개화한 춘당매는 한국에 가장 먼저 봄꽃 소식을 알렸다.올해 가장 먼저 봄꽃 소식을 알린 곳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이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피는 매화인 춘당매가 거제도에서 꽃망울을 터뜨리며 봄을 알렸다.그 뒤를 이어 남쪽 지방 국립공원인 무등산과 내장산에서는 2월 중순부터 복수초,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 노루귀 등 야생화가 피기 시작했으며, 강원도의 설악산국립공원에서도 노루귀 등 야생화가 일부 개화를 시작했다.▲ 전라북도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지난 22일 개화한 변산바람꽃.전라북도의 변산반도, 충청남도의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도 2월 말부터 복수초, 노루귀, 산자고, 솜나물 등의 야생화가 꽃망울을 활짝 터뜨렸다.▲ 충청남도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23일 발견된 산자고.지리산국립공원은 산수유마을로 유명한 전남 구례군 산동면 일대를 시작으로 3월 초부터 노란빛의 산수유와 생강나무가 개화를 시작하며, 4월 중순이면 전국 국립공원으로 확대되어 절정을 이룰 전망이다.속리산, 계룡산, 월악산 국립공원은 공원 진입도로의 벚꽃나무가 4월 중순부터 장관을 이루고, 5월에는 소백산 국립공원 연화봉 일대의 철쭉이 만개할 예정이다.최승운 국립공원관리공단 홍보실장은 ;각 공원 별로 개화시기에 따라 국립공원을 방문한다면, 봄 소식을 전하는 야생화와 함께 봄 기운을 만끽하는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2017년 국립공원의 봄꽃 개화 시기(자료: 국립공원관리공단)서애영 코리아넷 기자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xuaiy@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한국요리 조리법 시리즈 해물칼국수

    한국요리 조리법 시리즈: 해물칼국수

    바지락, 새우, 굴 등 풍성한 해물과 구수한 멸치 국물, 손으로 뽑아 면발이 쫄깃한 해물 칼국수는 한국의 인기 메뉴 가운데 하나이다.해물칼국수는 칼로 쏜 국수에 갖가지 해물을 넣고 끓여낸 음식이다. ;칼국수;란 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밀어 접어서 칼로 썬 국수라 하여 이름 붙여졌다.해물칼국수는 특히 봄이 제철인 바지락의 맛을 즐기기에도 좋은 음식이다. 주로 서해갯벌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바지락은 맛과 영양을 두루 갖춘 식재료이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의서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바지락이 "술독을 풀어서 술에 취한 것을 깨어나게 한다"고 적혀 있다. 실제로 바지락에 있는 베타인이 혈액과 혈관, 장기의 지방질, 노폐물, 독성물질에 대한 해독작용을 도와 과음으로 인한 피로 회복을 돕는다.▲ 갖은 해물의 시원한 맛으로 사랑 받는 해물칼국수는 바지락, 새우, 굴 등 풍성한 해물과 구수한 멸치 국물,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다.칼국수는 조선시대 최초의 한글 요리서인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 1670)에 소개되어 있는 음식이다. 한식재단에 따르면 칼국수는 6.25 이후 미국의 식량원조로 밀가루가 대량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했다.아직 꽃샘추위로 매서운 바람이 불지만 해물칼국수 한 그릇으로 봄을 맛보면 어떨까.** 재료밀가루 190g(2컵), 소금 2g(; 작은술), 달걀 60g(1개)물 50g(; 컵)밀가루(덧가루) 14g(2큰술)칼국수 국물 : 물 2.2kg(11컵), 무 50g, 멸치 30g마른새우 10g, 다시마 20g청장 3g(; 작은술), 소금 4g(1작은술)감자 50g(; 개), 호박 50g(⅙개)새우 50g, 굴 30g, 물 300g(1; 컵), 소금 1g(; 작은술)바지락 200g, 물 600g(3컵), 소금 6g(; 큰술)다진 마늘 5.5g(1작은술), 파 20g▲ 해물칼국수의 주 재료인 밀가루, 새우, 바지락, 굴, 호박, 멸치, 마른새우, 다시마, 달걀, 마늘, 무.** 준비1. 밀가루에 소금과 달걀, 물을 붓고 반죽하여, 젖은 면보에 싸서 30분 정도 두었다가, 밀대로 두께 0.2㎝ 정도로 밀어, 밀가루를 뿌린 후 접어서 폭 0.2㎝ 정도로 썬다.2. 칼국수 국물용 무는 손질하여 깨끗이 씻는다.3. 멸치는 머리와 내장을 떼어 내고, 다시마는 면보로 닦는다.4. 감자는 손질하여 깨끗이 씻은 후 두께 0.5㎝ 정도로 반달모양으로 썰고, 애호박은 씻어서 길이로 반을 잘라 두께 0.3㎝ 정도로 반달 모양으로 썬다. 파는 깨끗이 씻어 길이 2㎝, 두께 0.2㎝ 정도로 어슷썬다.5. 새우와 굴은 소금물로 살살 흔들어 씻고, 바지락은 소금물에 30분 정도 담가 해감을 토하게 한다.▲ 젖은 면보에 싸서 30분 정도 둔 밀가루 반죽을 밀대로 밀어 밀가루를 뿌린 뒤 0.2cm 두께로 썬다.** 만드는 방법1. 팬을 달구어 멸치와 마른새우를 넣고, 중불에서 2분 정도 볶는다.2. 냄비에 칼국수 국물용 물을 붓고 무와 멸치, 마른새우를 넣어, 센불에 10분 정도 올려 끓으면 중불로 낮추어 10분 정도 더 끓이다가 다시마를 넣고 불을 끈다. 5분 정도 두었다가 체에 밭쳐 청장과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칼국수 국물을 만든다.3. 냄비에 칼국수 국물을 붓고, 센불에 9분 정도 올려 끓으면, 칼국수와 감자; 애호박; 해물을 넣어 5분 정도 끓인 후, 다진 마늘과 파를 넣고 2분 정도 더 끓인다.▲ 칼국수 국물용 물을 부은 냄비에 무와 멸치, 마른새우를 넣어, 센불에 10분 정도 올려 끓인다. 10분 정도 중불에서 더 끓인 뒤 다시마를 넣고 불을 끈다.진행 윤소정 코리아넷 기자사진 한국전통음식연구소자료 아름다운 한국음식 100선arete@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한국, 개발도상국과 기상예보기술 공유

    한국, 개발도상국과 기상예보기술 공유

    ▲ 기상청은 지난 2월 6일부터 24일까지 개발도상국 21개국 기상업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기상예보관 과정을 운영했다. 참가자들이 기상이론에 대해 강의를 듣고 있다.한국이 개발도상국들과 기상예보기술을 공유했다.기상청은 지난 2월 6일부터 24일까지 개발도상국(이하 개도국) 21개국 기상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7년도 외국인 기상예보관과정;을 운영하여 기상예보기술을 지원했다.이 과정은 기상청의 예보기술 공유를 통해 개도국의 위험기상 대응능력을 향상하기 위 해 마련됐다.주요 교육 내용은 수치예보 개요와 자료 분석, 위성자료 활용, 기상자료 해석, 예보관 훈련 실습 등으로 구성됐다. 이 과정에는 몽골, 부탄 등 10개국 해외 기상청 직원 10명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기환경과학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이라크, 네팔, 케냐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 12개국의 15명이 참가했다.기상청 기상기후인재개발원은 이번 외국인 기상예보관 과정 외에도 기상레이더 운영기술과정, 정보통신기술(ICT)활용, 기상업무향상과정 등 총 4개의 외국인 기상업무종사자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1998년부터 외국인 국제교육훈련을 실시해왔으며 올해까지 총 7백96명의 외국인이 교육을 이수했다.고윤화 기상청장은 ;국제적인 기상재해 대응역량이 높아져야 최근 빈발하는 한국의 이상기상 현상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며 ;기상청이 세계기상기구 교육훈련센터(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Regional Training Center, WMO RTC)로서 국제사회의 기상 전문역량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앞으로 교육과정을 더욱 확대하여 운영하겠다;고 밝혔다.김은영 코리아넷 기자사진 기상청eykim86@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한•핀란드, ‘군사협력 강화’

    한•핀란드, ‘군사협력 강화’

    한국과 핀란드 국방장관이 상호 국방협력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유씨 니니스퇴(Jussi Niinisto) 핀란드 국방부 장관이 2일 서울에서 열린 이번 회담에서 군 고위급 인사교류 확대하고, 군사교육교류 개시 및 방산협력 활성화 등을 통해 양국 군사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특히 한 장관은 작년 북한의 4;5차 핵실험 및 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시 규탄성명을 신속히 발표하고 북한 도발 행위에 대해 유럽연합(EU) 회원국들과 대북 압박에 동참해온 핀란드 정부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압박 공조 노력에 지속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유씨 니니스퇴 핀란드 국방부 장관(오른쪽에서 세 번째)이 2일 김재홍 코트라(KOTRA) 사장(왼쪽에서 세 번째)과 한국산 K9 자주포 48문을 핀란드로 수출하는 정부 간 수출계약을 체결했다.이날 니니스퇴 장관은 한국산 K9 자주포 48문을 핀란드로 수출하는 계약도 체결했다. 이번 K9 자주포 수출계약은 총 1천9백15억원 규모로, 총 48문이 2025년까지 핀란드로 순차적으로 인도된다.강가희 코리아넷 기자사진 코트라kgh89@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산림청, ‘2017년 해외산림인턴 발대식’ 개최

    산림청, ‘2017년 해외산림인턴 발대식’ 개최

    ▲ 산림분야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선발된 16명의 청년인턴들이 해외 산림인턴 발대식에 참여하고 있다.지난 24일, 산림청은 산림분야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대전청사에서 ;2017년 해외 산림인턴 발대식;을 개최하였다.이번에 선발된 16명의 청년 인턴들은 인도네시아, 솔로몬제도, 파라과이 등 5개국에 진출한 6개 한국 기업들의 해외조림 사업장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등 국제기구에서 약 6개월간 경험을 쌓는다.해외 산림인턴 제도는 산림분야의 해외 직장체험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산림청이 지난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다.지난해까지 200여 명이 선발되어 세계 15개국 36개 기업∙기관에 파견됐으며 이중 113명이 취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특히 올해부터는 국내 인턴기간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어 국내외 실무경험을 쌓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김용하 산림청 차장은 ;미래 해외산림자원개발과 국제산림협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우리 청년들에게 산림청의 해외산림인턴 프로그램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김려 코리아넷 기자사진 산림청jinli01@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에서 만나는 아시아’ 프로그램 운영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에서 만나는 아시아’ 프로그램 운영

    오는 4월부터 11월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 프로그램;박물관에서 만나는 아시아;를 운영한다.본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관 전시품을 활용한 학습활동을 통해 다양한 나라와 지역 문화를 이해하는 전시 감상 프로그램이다.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전시 감상 꾸러미 (탐험일지, 돋보기, 연필, 접이식 의자 등)를 들고 인도,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실을 탐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시아 교류의 흔적을 찾아 돋보기로 관찰하고 연필로 그려 보면서 전시품을 사진으로 남긴 활동사진을 모아 학급에 가서도 전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청소년을 위한 인도,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실을 탐방하는 ;박물관에서 만나는 아시아;를 4월~11월까지 운영한다.학급단체를 대상으로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에 운영되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급 단체의 담당교사는 국립중앙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3월2일 오전 10시부터 신청 가능하다. 홈페이지(http://www.museum.go.kr )방문 학교별 담당교사가 참가신청서를 제출해야 최종 참가학교로 확정된다.김려 코리아넷 기자사진 국립중앙박물관jinli01@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수학 영재 소년의 용감한 탈북기

    수학 영재 소년의 용감한 탈북기

    ▲ 지난 2월 26일 홍콩 일간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가 북한의 수학 영재 리정열군이 홍콩을 통해 한국으로 간 탈북과정을 소개했다.1997년 홍콩 주권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 홍콩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온 탈북자는 없었다. 2016년 7월 17일 리정열군이 무모할 정도로 용감한 계획을 실천하기 전까지 말이다.홍콩의 일간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 이하 SCMP)는 지난 2월 26일 '수학 천재 탈북자가 홍콩을 통해 탈출한 방법(How North Korean maths-whizz defector escaped through Hong Kong)'이라는 제하 리군의 탈북기를 자세히 다뤘다.SCMP에 의하면 리군은 북한 대표로 홍콩에서 열린 제57회 수학올림피아드 대회에 출전해 대회를 마친 7월 17일 감시가 느슨해진 틈을 타 홍콩과학기술대학교(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기숙사를 빠져 나와 택시를 타고 홍콩국제공항으로 향했다. 한국 사람이 많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했기 때문이었다.공항에 도착한 그가 한국 항공사 카운터에 있던 직원에게 자신이 북한 사람이며 한국에 가고 싶다고 밝히자 직원은 홍콩의 한국 총영사관에 전화를 연결해주었다. 외교관이 직접 탈북에 개입할 수 없다는 원칙 때문에 그는 다시 한번 스스로 택시를 잡아타고 도심 쪽에 있는 총영사관으로 가야만 했다.무사히 영사관에 도착한 그는 두 달간 중국 당국의 허가를 기다렸다. 게임기와 운동기구로 시간을 보내며 첫 한 달간 거의 입을 열지 않았던 그는 조금씩 영사관 직원들에게 마음을 열었다고 한다. 지난 9월 24일 리군은 비로소 새 여권과 비자를 받아 한국에 갈 수 있었다.당시 18세였던 리군에게는 홍콩에서 열리는 수학올림피아드에 출전해 북한을 벗어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다. 한 해가 더 지나면 더 이상 대회에 나갈 수 없는 나이가 되기 때문이다.여권을 반납하고 스마트폰 사용은 금지 당한 채로 인솔 교사의 감시를 받아야만 했고 탈북을 하다 발각되면 그와 그의 가족이 위험에 처하게 되지만 그는 자유를 향한 마지막 가능성을 놓칠 수 없었다.그의 계획은 대담하고 무모했지만 즉흥적인 것은 아니었다. SCMP지는 그가 이미 홍콩 대회에 참가하기 전부터 탈북을 결심하고 있었다고 전했다.201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2015년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린 수학올림피아드 대회에서도 북한을 대표로 은메달을 수상한 리군은 그곳에서 만난 한국 학생들을 통해 남북간의 차이를 느꼈다고 한다. 또한 북한 강원도의 그의 집에서는 한국 TV와 라디오 전파가 잡혀 한국 사람들의 생활을 접할 수 있었다.SCMP에 의하면 그는 홍콩으로 떠나기 전 중학교 수학교사인 아버지에게 자신의 결심을 밝혔다. 그의 아버지는 위험부담에도 불구하고 "걱정하지 말고 가라"며 200달러 상당의 돈을 리군의 손에 쥐여줬다고 한다.SCMP는 리군이 한국에 도착해 한국어, 문화, 사회, 국제정세에 관련한 교육을 받았으며 이달 한국의 대학교에 입학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김영신 코리아넷 기자사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ysk1111@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한-스페인, ‘양국 실질협력 지속 확대’

    한-스페인, ‘양국 실질협력 지속 확대’

    ▲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과 알폰서 다스티스 스페인 외교부 장관이 1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한-스페인 실질협력 방안을 논의했다.한국과 스페인이 북핵, 정보통신, 과학기술, 중남미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로 했다.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알폰서 다스티스(Alfonso Dastis) 스페인 외교부 장관은 1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회담을 갖고 양국 실질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이날 회담에서 윤 장관은 ;스페인이 2015년부터 2년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이자 대북제재 위원회 의장국으로서 안보리 결의 채택 등 국제사회의 북핵 문제 대응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북한 인권 개선 및 대북 압박을 위한 스페인 정부의 계속적인 협조를 당부했다.이에 대해 다스티스 장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및 인권문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국제사회의 충실한 안보리 결의 이행 및 유럽연합(EU) 차원의 강력한 독자 대북제재의 조속한 채택 등을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양 장관은 이어 경제과학기술공동위, 한-스페인 포럼 등 정례 협의체를 통해 정보통신, 과학기술 분야 협력을 증진하고, 건설;인프라 분야에서 각자의 강점을 살려 제3국 시장 공동진출 확대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이와 함께 한-스페인 항공협정의 조속한 개정, 워킹홀리데이 협정체결 등을 통해 양국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중남미 지역 협력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해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유엔 평화유지 활동을 통한 평화구축 노력, 폭력적 극단주의 대응, 유엔 개혁 등 국제문제에서도 공동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김영아 코리아넷 기자사진 외교부Kimya124@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한•미 국방장관, ‘양국 군사동맹 강화’

    한•미 국방장관, ‘양국 군사동맹 강화’

    한;미 국방장관이 1일 통화를 갖고 북핵 대응을 위한 양국 군사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로 했다.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제임스 매티스(James Mattis) 미국 국방장관은 30여분간 이어진 이번 통화에서 최근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으로 인해 더욱 엄중해진 안보상황에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확고히 유지하고 양국간 유기적인 협력과 긴밀한 대북정책 공조가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한;미 국방장관이 1일 통화를 갖고 북핵 대응을 위해 양국 군사동맹을 더욱 강화해 나가자고 했다. 사진은 지난 2월 3일 방한한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왼쪽)이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매티스 장관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수호의지는 변함없이 확고하다"며 "미국이나 동맹국에 대한 어떠한 공격도 격퇴될 것이며 핵무기의 사용도 효과적이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어 한 장관은 "한;미 연례 군사 연습인 '키 리졸브(Key Resolve, KR)'와 야외 기동 훈련인 '독수리 연습(Foal Eagle, FE)',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등 한;미 연합 연습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해왔다"며 "금번 연합 연습을 지난해와 같이 강화된 수준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양 장관은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 국민과 한미동맹의 군사력을 보호하기 위해 자위적 차원에서 한미동맹이 결정한 사항임을 재확인했다.이하나 코리아넷 기자사진 국방부hlee10@korea.kr 2017.03.03
    상세보기
  • 평창 패럴림픽,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와 적극 협력

    평창 패럴림픽,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와 적극 협력

    지난 28일 오후, 황교안 권한대행은 정부 서울청사에서 필립 크레이븐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위원장과 면담하였다.황 권한대행과 필립 크레이븐 위원장은 평창 동계패럴림픽 준비현황, 정부지원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황 권한대행은 평창 동계패럴림픽은 세계와 평창,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축제로 올림픽과 패럴림픽으로 이어지는 전체 대회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행사로 의미가 크다고 강조하였다.▲ 황 권한대행과 크레이븐 국제패럴림픽위원회 위원장 면담또한, 평창올림픽 자원봉사자가 목표인원을 크게 뛰어넘었다는 것을 언급하면서 평창 대회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전달하였다. 평창 동계패럴림픽이 최고의 대회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국제패럴림픽위원회와도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길 희망한다고 말하였다.필립 크레이븐 위원장도 패럴림픽에 대한 한국 정부의 노력에 감사한다고 답하며, 국제패럴림픽 위원회도 평창 대회의 성공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하였다.서애영 코리아넷 기자사진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xuaiy@korea.kr 2017.03.02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