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연산동 고분군, 삼국시대 무덤 축조기술 알려주다
▲ 부산 연산동 고분군은 부산의 배산(盃山)의 완만한 능선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18기의 봉분과 경사지에 있는 1천 여 기의 고분으로 이루어져 있다.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조성된 부산 배산의 ;부산 연산동 고분군;이 삼국 시대 무덤 축조기술을 알려준다는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됐다.봉분들의 대표적인 특징은 석곽 내부를 점토로 발라 마감하는 점, 빗물이 석곽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풀잎과 잔가지를 깔고 그 위에 점토를 바르는 부엽공법을 이용한 점, 마사토를 이용하여 연약 지반을 강화하고 봉분의 하중을 분산시킨 점, 봉분을 견고하게 쌓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점토 덩어리 사용한 점, 거대 뚜껑돌 이동을 위한 목재 사용한다는 점 등이다.또한 1987년부터 2013년까지 7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로 지금까지 조사된 영남지역 삼국시대 고분군 중 가장 규모가 큰 수혈식 석곽묘가 확인됐다. 수혈식 석곽묘는 구덩식 돌덧널무덤이라고도 구덩이 속에 돌벽을 쌓고 그 안에 관과 부장품을 묻은 무덤이다. 부장품으로는 갑옷, 투구, 철제관모 등이 나왔다.연산동 고분군은 신라와 가야의 고분 축조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고, 출토 유물도 부산 지역만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물과 신라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물이 함께 출토되어 5~6세기 부산과 영남 지역의 고대사 및 고대 문화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김영신 코리아넷 기자사진 문화재청ysk1111@korea.kr 2017.03.06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