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527

페이지 924 / 1253

  • 	한•사우디, ‘7대 신성장동력 산업 협력강화’

    한•사우디, ‘7대 신성장동력 산업 협력강화’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4일 사우디 석유연구원에서 칼리드 알 팔리(Khalid Al-Falih) 에너지산업부 장관과 면담하고 있다.강가희 기자 kgh89@korea.kr사진 산업통상자원부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신재생에너지, 방산, 노후발전소 성능개선, 담수화 플랜트 등 7대 신성장동력 산업 분야에서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간다.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아델 빈 무하마드 파키흐(Adel M. Fakeih) 경제기획부 장관, 칼리드 알 팔리(Khalid Al-Falih) 에너지산업부 장관, 마제드 알 카사비(Majed Al Qasabi) 상무투자부 장관, 알 나세르(Al Nasser) 아람코 사장과 연달아 회담을 갖고, 사우디 정부의 ;사우디 비전(Vision) 2030; 실행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사우디 정부가 지난해 4월 발표한 ;사우디 비전 2030;은 탈석유;산업 다각화를 위해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신재생, 방산 등 7대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정책이다. 사우디 정부는 ;비전 2030; 실현을 위한 5대 전략적 협력국가로 한국을 선정한 바 있다.이번 회담에서 주 장관은 ;비전 2030; 실행을 위한 양국간 장관급 협의체인 ;비전 2030 조인트 그룹(Joint Group);을 신설해 양국 협력 추진 상황 점검 및 이행 촉진방안 논의를 제안했다.주요 협력 내용으로 사우디 석유;가스회사인 ;아람코;와 한국의 현대중공업 간 합작 조선소 건립, 국영 석유화학기업 ;사빅(SABIC);과 SK종합화학 간 고부가가치 폴리에틸렌 합작법인 설립, 쌍용자동차의 사우디 현지 자동차 생산 지원, 탄약;장갑차 등 방산 분야 합작법인 설립 등이 포함된다.이에 아람코의 알 나세르 사장은 "1970년대 현대건설의 주바일 산업도시 항만건설사업의 성공적 수행으로 불모지에 불과했던 지역이 사우디 내 최대 석유화학단지로 변모할 수 있었다;며 한국기업의 입찰 참여를 환영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4일 사우디 상무투자부 장관 집무실에서 마제드 알 카사비(Majed Al Qasabi) 상무투자부 장관과 면담하고 있다.이와 함께 주 장관은 마제드 알 카사비 상무투자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한-걸프협력이사회(GCC) 자유무역협정(FTA);를 위한 예비협의 개시를 제안하며 ;한국과 GCC간 FTA 체결은 양국의 상호보완적 경제구조를 고려할 때 양국간 교역;투자 수준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모멘텀(momentum)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에 알 카사비 장관은 ;예비협의가 조속히 개최될 수 있도록 GCC회원국들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2017.04.06
    상세보기
  •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및 투자 방안 논의’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및 투자 방안 논의’

    ▲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이 열린 지난 4일 찰스 보아마(Charles Boamah) 아프리카개발은행 부총재가 축사를 하고있다.김영아 기자 kimya124@korea.kr사진 부산광역시한국과 아프리카의 경제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아프리카간 경제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기획재정부를 비롯해 한국수출입은행,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지난 3,4일 아프리카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관계자들과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Korea-Africa Business Forum);을 개최했다. ;아프리카 시장 조달 설명회;로 시작된 이번 포럼에서는 ;한국과 아프리카 민간분야 협력 강화 방안;, ;AfDB 조달 체계;, ;급격한 아프리카 경제 성장에 따른 AfDB의 역할; 등이 소개됐다.이어 ;아프리카 시장 현황 및 한국 기업 진출 전략;, ;한국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를 통한 아프리카 진출 전략;,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업; 등 한-아프리카간 투자 방안도 논의됐다.▲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이 지난 4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가운데, 타다시 요코야마(Tadashi Yokoyama) 아프리카개발은행 아시아소장이 ;한국과 아프리카 민간분야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송인창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은 ;풍부한 천연자원과 인적자원 등 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한다;며 ;한국과 아프리카 간의 성공적 파트너쉽을 위해 에너지 개발, 거버넌스 개선, 인적자원 개발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2017.04.05
    상세보기
  • 	한국, ICC 협력 강화 방안 모색

    한국, ICC 협력 강화방안 모색

    ▲ 윤병세 외교부장관(오른쪽)이 4일 실비아 페르난데스 국제형사재판소 소장을 접견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려 기자 jinli01@korea.kr윤병세 외교부장관이 4일 실비아 페르난데스 (Silvia Fern;ndez) 국제형사재판소(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소장을 접견하고 한국과 ICC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윤 장관은 ;한국 정부는 법치(rule of law)를 통한 국제형사정의 실현과 국제평화 유지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이러한 차원에서 ICC와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장관은 ;한국은 ICC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국가;라며 ;앞으로도 ICC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북한 문제와 관련, 윤 장관은 ;지난 수년 간 UN 총회 및 인권이사회 등 국제무대에서 북한인권 상황의 ICC 회부를 포함, 책임규명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ICC측의 관심을 환기했다.페르난데스 소장은 ;한국이 ICC 설립 당시부터 ICC 핵심국가로서 그간 여러 방면에서 ICC 활동을 지원해주고 있다;며 사의를 표했다. 이어 ;한국과 ICC 양자 간 협력을 지속 강화함으로써 ICC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7.04.05
    상세보기
  • 	한•케냐 경제협력 강화 논의

    한•케냐 경제협력 강화 논의

    ▲ 이태호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왼쪽)과 톰 아몰로(Tom Amolo) 케냐 외교부 차관보(오른쪽)가 나이로비에서 3일 개최된 ;제4차 한국;케냐 경제공동위;에서 양측의 논의 결과가 담긴 ;합의 의사록;에 서명하고 있다. 외교부김은영 기자 eykim86@korea.kr한국과 케냐가 지난 3일 '제4차 한;케냐 경제공동위'를 개최하고 교역;투자;경제협력의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이번 공동위에서 양국은 교역투자 현황 및 경제협력 관계전반을 점검하고 논의결과를 담은 ;합의의사록(Agreed Minutes);을 채택했다.양국은 이날 케냐의 경제발전계획 '비전 2030'의 한국기업 참여방안과 교역투자 증진방안, 인적자원 개발, 과학기술, 전자정부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의 경제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했다.특히 전자정부 협력과 관련, 한국은 케냐에 올해 안에 ;한∙케냐 전자정부 협력센터;를 개소하고 전자정부 운용 경험 공유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양국은 아울러 기술;직업교육,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 및 보건분야 역량강화 지원 등 각종 인적자원 개발사업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이날 양국은 주케냐대사관과 케냐 산림청이 공동 추진하는 '한∙케냐 우호림 조성사업'과 케냐 외교연수원과 한국의 국립외교원간 공동연구 및 인사교류 사업도 논의했다. 2017.04.05
    상세보기
  • 	황 권한대행, ‘북한 도발 대비태세 강화’

    황 권한대행, ‘북한 도발 대비태세 강화’

    ▲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국무총리실손지애 기자 jiae5853@korea.kr;한국 정부와 국제사회는 사실상 핵 보유국 지위 인정을 획책하는 북한의 무모한 야욕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조만간 최고인민회의(4월11일), 김일성 생일(4월15일), 인민군 창건일(4월25일) 등 북한의 정치 일정이 이어지고, 미;중 정상회담, 한국 대통령 선거 등도 예정돼 있어 선전 효과 극대화를 노린 추가 핵실험 등 북한의 전략적 도발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이같이 밝혔다.황 권한대행은 ;각 부처와 군은 최대한 경각심을 갖고 가용한 군사;외교적 수단을 총동원해 북한의 동태를 예의주시하는 등 만반의 태세를 갖춰야 한다;며 ;북한이 도발하는 경우 군사;외교;경제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등 국제사회의 압박을 강화하기 위한 외교활동과 주요 동맹국과의 공조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 수립과 법안을 통해 대북제재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미 당국이 적극적으로 공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7.04.05
    상세보기
  • 	과학을 체감하는 4월

    과학을 체감하는 4월

    ▲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을 주제로 한 다양한 행사가 한국 전역에서 열린다. 코리아넷DB김영아 기자 kimya124@korea.kr;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을 주제로 한 다양한 행사가 한국 전역에서 열린다.미래창조과학부는 ;언제나 4월, 과학을 봄;을 주제로 오는 22, 23일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2017 가족과학축제;를 개최한다. 과학에 대한 강연과 함께, 과학 실험, 퀴즈쇼, 길거리 마술, 음악회 등이 열리며 과학을 보다 쉽게 체감 할 수 있는 장(場)이 마련된다.이에 앞서 ;과학의 날(21일);과 ;정보통신의 날(22일);에는 국립중앙과학관(대전), 국립과천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등 한국의 5대 국립과학관이 이틀간 입장료를 받지 않는다.국립중앙과학관에서는 15, 16일 양일간 ;봄 사이언스데이;를 연다. 인체의 신비와 음식을 과학으로 표현한 강연과 과학체험부스, ;천체관 음악회; 등 과학과 어우러진 행사들이 진행된다.국립과천과학관은 18일부터 23일까지 목성의 줄무늬와 4대 위성을 관측 할 수 있는 ;목성특별관측회;를, 국립광주과학관은 18일부터 5월 21일까지 식물;곤충의 표본 전시 등 자연생태를 주제로 한 ;봄 과학축제;가 열린다.;4월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과학전문 온라인 포털 ;사이언스올(http://www.scienceall.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7.04.04
    상세보기
  • 	한•카타르, ‘경제협력 강화’

    한•카타르, ‘경제협력 강화’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과 셰이크 압둘라 알타니(Sheikh Abdullah Al-Thani) 카타르 총리가 지난 2일 카타르 도하 총리집무실에서 면담하고 있다.이하나 기자 hlee10@korea.kr사진 산업통상자원부한국과 카타르가 양국 간 협력관계를 확대하기로 했다.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일 카타르 도하에서 셰이크 압둘라 알타니(Sheikh Abdullah Al-Thani) 총리, 아흐메디 알타니(Ahmed Al Thani) 경제무역부 장관, 모하메드 빈 살라 알사다(Mohammed Bin Saleh Al Sada) 에너지산업부 장관과의 회담을 갖고, ;카타르 산업 다각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대해 논의했다.주 장관은 한;걸프협력회의(GCC)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논의가 ;양국 간 교역;투자 수준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국면전환이 될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에 '예비협의'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이에 알타니 총리와 알타니 경제무역부 장관은 '예비협의'가 조속히 개최될 수 있도록 회원국인 사우디,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과 협의하겠다고 화답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과 아흐메디 알타니 (Ahmed Al Thani) 카타르 경제무역부 장관 2일 카타르에서 ;한;걸프협력회의(GCC); 국가와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양국은 카타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산업다각화 전략 '국가비전 2030'을 토대로 협력관계를 제조업, 신재생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보건;의료, 스마트농업 등으로 늘린다.한국은 올해 하반기 자문회의를 열고 산업화 경험과 제조업, 중소기업 육성 등 정부정책을 공유한다. 또한 양국 산업부 장관급 회의의 연례 개최와 정부 간 협의채널을 '민관합동 무역투자 태스크포스(TF)'로 확대 개편한다.한국기업이 참여를 추진하고 있는 ;제크리트(Zekreet); 휘발유 생산;저장시설 및 파이프라인 건설사업, 발전담수 플랜트 사업 등 총 33억 달러 규모의 수주 사업에도 협력하기로 했다.알사다 에너지산업부 장관은 "1978년 현대건설의 도하 쉐라톤 호텔 건설을 시작으로 한국 기업들이 카타르의 각종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다"며 "한국기업의 입찰 참여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2017.04.04
    상세보기
  • 	한국, 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과 보건의료 협력 강화

    한국, 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과 보건의료 협력 강화

    ▲ 보건복지부 방문규 차관(왼쪽)이 지난 3월 31일 키르기스스탄 비슈켁에서 바티랄리예프 키르기스스탄 보건부장관과 ;보건의료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보건복지부서애영 기자 xuaiy@korea.kr한국이 키르기스스탄 및 카자흐스탄과 보건의료 협력을 확대한다.보건복지부 방문규 차관이 키르기스스탄과 카자흐스탄을 방문해 보건의료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방 차관은 먼저 지난 3월 29일 카자흐스탄에서 알렉세이 최(Alexey Choi) 카자흐스탄 보건부 차관과 면담을 가졌다.알렉세이 최 차관은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시스템에 관심이 많다;며 ;카자흐스탄 보건의료 현대화 산업 및 제약;의료기기 분야에서 한국과 적극 협력하길 원한다;고 밝혔다.이에 방 차관은 ;한국의 우수한 의료시스템 및 IT, 제약;의료기기 등은 카자흐스탄의 보건의료 개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제약산업 포럼 개최, 의료인력 연수 확대, 한국에서 치료받는 카자흐스탄 국민의 사후관리 방안 등을 제안했다.이어 방 차관은 지난 3월 31일 탈란트벡 바티랄리예프(Talantbek Batyraliev) 키르기스스탄 보건부 장관과 ;보건의료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바티랄리예프 장관은 ;키르기스스탄 의료인을 위한 한국 의료기관의 연수 지원에 감사한다;며 ;의료인 교류를 시작으로 제약;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전반에 대해 한국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방 차관은 한국의 대외협력기금(EDCF) 지원으로 추진하게 될 비슈켁의 감염병원 건립사업을 시작으로 키르기스스탄 내 병원 건립 및 운영, 병원정보화 시스템 구축, 의료인 교육 등 병원현대화 사업 전반에 대한 협력 방안을 제안했다. 2017.04.04
    상세보기
  •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만나는 ‘한국 도자’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만나는 ‘한국 도자’

    ▲ ;한국도자의 정중동(靜中動);을 주제로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4일부터 9일까지 열리는 한국공예전시에 선보일 이세용작가의 작품 ;다기 세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서애영 기자 xuaiy@korea.kr;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한국 도자기의 디자인이 ;트리엔날레; 박물관 1층 갤러리에서 관람객을 맞이한다.오는 9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특별전시회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공예작가 16명 빚어낸 도자기 작품과 수집가 1명이 내놓은 도자기 등 총 90 여점이 전시된다. 그 종류도 청자;백자;분청사기;옹기 등 전통도자에서부터 현대도자에 이르기까지 한국도자의 다양한 멋을 선보인다.전시 주제는 ;한국도자의 정중동(靜中動);.한국도자가 추구해온 외형적, 내면적 특성을 함축하고 있으며, 부단한 내면적 성찰을 통해 끊임없이 조화와 균형의 아름다움을 추구해온 정체성을 상징한다.이번 전시를 담당한 조혜영 예술감독은 ;전통과 현대, 음과 양, 허와 실, 단순과 복잡, 부드러움과 강함 등 한국도자에 나타나는 상대적이고 상징적인 요소들을 공간 구성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2017.04.04
    상세보기
  • 한국•동남아 9개국, ‘농•식품 교역 확대’

    한국•동남아 9개국, ‘농•식품 교역 확대’

    ▲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이 지난 3월 31일 서울에서 열린 ;한-동남아시아 국가 간 농식품 교역 확대; 간담회에 참석해 주한 동남아 9개국 대사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강가희 기자 kgh89@korea.kr한국과 동남아 9개국이 ;농;식품 교역 확대;를 위한 의견을 나눴다.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3월 31일 서울에서 동남아시아 9개국(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주한 대사들과 간담회를 열고 농;식품 교역 현황 및 향후 상호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은 ;동남아 국가는 한국 국민들이 선호하는 여행지며, 필리핀;태국 등에서도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는 등 민간 차원의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며 ;농;식품 분야의 교류도 확대되길 바란다;고 밝혔다.김 장관은 특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의 무슬림 소비자들을 위한 한국의 ;할랄 인증; 식품 분야 교역 활성화를 제안했다. 이와 함께 한국산 유제품;과일;축산물 등의 수출절차 가속화를 위한 각국의 협조도 당부했다. 2017.04.04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