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내각 및 청와대 인사 발표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내각 및 청와대 인사를 발표하고 있다. 왼쪽에서부터 윤영찬 국민소통수석비서관, 조현옥 인사수석비서관, 임종석 비서실장, 문 대통령, 장하성 정책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청와대 = 글;사진 전한 기자 hanjeon@korea.kr문재인 대통령이 경제 및 외교;안보 분야 인사를 직접 발표했다.문 대통령은 21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을 찾아 ;새 정부의 경제와 외교;안보 분야 인사를 직접 국민들께 말씀드리겠다;고 인사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 장관, 외교부 장관,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청와대 정책실장, 그리고 외교안보특보 인선을 공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내각 및 청와대 인사 인선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문 대통령은 경제 라인으로 김동연 아주대학교 총장을 경제부총리 후보로 지명했고 장하성 고려대학교 교수,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을 각각 청와대 정책실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에 임명했다.문 대통령은 ;(김 경제부총리 지명자에 대해) 저와 개인적인 인연은 없지만 청계천 판자집의 소년가장에서 출발해 기재부 차관과 국무조정실장까지 역임한 분으로서 누구보다 서민들의 어려움을 공감 할 수 있는 분이라고 생각한다;며 ;특히 기획예산처와 기획재정부의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경제에 대한 거시적인 통찰력과 조정 능력이 검증된 유능한 경제 관료라는 점에서 지금 이 시기에 경제 부총리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밝혔다.;한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오신 경제학 분야의 석학이자 실천 운동가;라고 장 정책실장을 소개한 문 대통령은 ;과거 재벌, 대기업 중심 경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사람 중심, 중소기업 중심으로 경제;사회 정책을 변화시켜 경제민주화와 소득주도성장, 국민성장을 함께 추진 할 수 있는 최고의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에 대해 ;대한민국 개혁적 보수를 대표하는 경제학자;라며 ;저와 다소 다른 시각에서 정치;경제를 바라보던 분이지만 이제 경제 문제에 있어서도 합리적 진보와 개혁적 보수가 손을 맞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 삶을 중심에 놓으면 얼마든지 함께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내각 및 청와대 인선 발표를 위해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 입장한 뒤, 출입기자들에게 인사를 건네며 환하게 웃고 있다.문 대통령은 외교부 장관에 강경화 현 유엔(UN) 사무총장 정책특별보좌관을 지명한 것으로 외교;안보라인 인선 소개를 시작했다.문 대통령은 ;강경화 후보자는 비(非)외무고시 출신의 외교부 첫 여성 국장과 한국 여성 중에서 UN 최고위직에 임명되는 등 외교 분야에서 우리나라 ;최초, 최고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 외교 전문가;라며 ;국제외교 무대에서 쌓은 전문성과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지금 이 시기의 민감한 외교 현안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밝혔다.새 정부에서 기능이 강화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 정의용 아시아정당 국제회의 상임위원장을 임명한 문 대통령은 ;국가안보실장은 국제노동기구(ILO) 의장, 제네바 대사 등을 역임하면서 다자외교 무대에서 대한민국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해 오신 분;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안보와 외교는 동전의 양면이라고 생각한다;며 ;지금의 북핵 위기 상황에서는 우리의 안보에서 외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날 안보의 개념이 보다 더 확장적이고 종합적이어야 한다;며 ;지금처럼 북핵, 사드, FTA 등 안보와 외교, 경제가 하나로 얽혀있는 숙제들을 풀기 위해서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 필요한 덕목은 확고한 안보 정신과 함께 외교적인 능력이라고 생각한다;고 정 국가안보실장 인선 이유를 설명했다.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새 정부의 통일;외교;안보 정책 입안과 운영에 도움을 주실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로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과 문정인 연세대학교 교수를 임명한다;며 ;국제사회에서 이미 그 능력과 권위를 인정받고 계신 두 분이 참여함에 따라 산적한 외교;안보 현안의 실마리가 풀려나갈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7.05.22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