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과 혁신성장기술 한 자리에… 월드IT쇼 2018
▲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월드IT쇼 2018’ 행사에서 관람객들이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주행 시뮬레이션을 체험하고 있다. 서울 = 김태원 기자 twkim0717@korea.kr 사진 = 김순주 기자 photosun@korea.kr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정보통신 국제전시회 ‘월드IT쇼 2018(WIS 2018)’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IT’s SMART’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행사에는1500개 국내외 IT 기업들이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5세대(5G) 이동통신 등 최신 IT기술을 선보였다. 23~26일 나흘간 12만 명이 넘은 인파가 몰려 행사장은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였다. SK텔레콤과 KT는 5G와 IOT를 접목해 가정과 일터에서 편리함을 높여주는 서비스를 소개했다. KT는 통신단말기를 장착해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LED 전광판이나 아파트 같은 공공주택에서 승강기, 조명, 전기 장치에 센서를 부착한 IoT 기술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SK텔레콤 부스에서는 5G를 활용한 360도 영상통화나 다자 통화가 인기였다. SK텔레콤 관계자는 “5G 통신망은 대용량 데이터도 끊김 없이 전달할 수 있어 고화질로 360도 화면을 볼 수 있는 영상 통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파워리퍼블릭의 무선전력 기술은 전선 없이 최대 4KW 전기를 30cm 거리까지 송수신할 수 있다.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적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제품들도 선보였다. 전선 없이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을 선보인 파워리퍼블릭은 ‘와이어리스 아쿠아리움’으로 ‘WIS 2018’ 혁신상을 받았다. 최의영 이사는 “파워리퍼블릭의 기술은 최대 20cm 거리 안에 있는 제품에도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며 “사람이 가기 어려운 곳에서도 드론이나 전기 시설 등을 충전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모픽도 안경 없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화면을 3D로 볼 수 있는 핸드폰 커버 ‘스냅 3D’를 선보여 혁신상을 수상했다. 모픽 부스의 정지수 주임은 “스냅 3D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고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계산해 최적의 3D 영상을 보여준다”며 “영상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므로 인지 교육, 홍보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2018.05.29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