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532

페이지 787 / 1254

  • [북미회담 D-1] 북, 김정은 싱가포르행 보도 ‘새 조미관계 수립’

    [북미회담 D-1] 북, 김정은 싱가포르행 보도 ‘새 조미관계 수립’

    ▲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10일 싱가포르를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이스타나 대통령궁에서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윤소정 기자 arete@korea.kr사진 = 연합뉴스‘세기의 핵 담판’이 될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1일 북한 공식 매체들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싱가포르 방문을 보도하며 “새로운 조미(북미)관계 수립” 의지를 드러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번 회담을 “역사적인 첫 조미 수뇌 상봉과 회담”으로 규정했다. 매체들은 “김정은 동지께서 조미(북미) 수뇌 상봉과 회담이 개최되는 싱가포르를 방문하시기 위해 10일 오전 중국 전용기로 평양을 출발했다”며 “최고영도자(김정은) 동지와 도널드 제이 트럼프 미합중국 대통령 사이의 역사적인 첫 상봉과 회담이 6월 12일 싱가포르공화국에서 진행된다”고 보도했다. 이어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들인 김영철 동지, 리수용 동지, 인민무력상 노광철 동지가 함께 참가했다”고 수행단도 공식 확인했다. 매체들은 “전 세계의 비상한 관심과 기대 속에 역사상 처음으로 진행되는 조미수뇌회담에서는 달라진 시대적 요구에 맞게 새로운 조미관계를 수립하고 조선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문제, 조선반도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한 문제들을 비롯하여 공동의 관심사로 되는 문제들에 대한 폭넓고 심도 있는 의견이 교환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국무위원장과 리센룽(Lee Hsien Loong) 싱가포르 총리와의 면담도 보도했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역사적인 조미수뇌상봉과 회담을 위해 모든 조건과 편의를 제공하여준 싱가포르정부의 성의 있는 협조에 깊은 사의”를 표했으며 리 총리는 “이번 조미수뇌회담이 조선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는데 중요한 계기로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북미정상회담 참석차 10일 싱가포르를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창이공항에 도착해 싱가포르 측의 영접을 받고 있다. 2018.06.11
    상세보기
  • 창덕궁에서 궁궐 정취 만끽하며 ‘모내기’ 해요

    창덕궁에서 궁궐 정취 만끽하며 ‘모내기’ 해요

    ▲ 창덕궁 청의정에서 7일 열린 ‘창덕궁 모내기 행사’의 참가자들이 손수 모를 심고 있다. 서울 = 정주리 기자 etoilejr@korea.kr 사진 = 전한 기자”역사적인 장소와 내가 연결된 것 같은 느낌” 7일 창덕궁 후원 북쪽 깊숙이 자리한 청의정에서 열린 모내기 행사에서 직접 모를 심은 라스마 모르텐센(Rasmas Mortensen, 덴마크) 씨가 진흙이 묻은 장화를 벗고 연신 신기한 듯 미소를 보이며 말했다.매년 창덕궁에서 열리는 ‘창덕궁 모내기 행사’는 조선시대에 국왕이 직접 모내기에 참여해 농사를 실천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을 기리는 행사다.당일 오전 11시 창덕궁 관람객에 한해 입장이 가능한 탓에 그리 많은 사람이 모이진 않았지만, 약 260여 명이 청의정에 모였다. 내국인 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덴마크, 중국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관람객도 모내기 체험 행사에 참석했다. 참석한 사람들은 떡메치기 체험과 한국 벼 품종으로 만든 쌀 가공식품을 살펴보는 등 다양한 행사를 즐겼다. 창덕궁 관람 중 모내기 행사를 참관하고 한국 쌀로 만든 인절미를 맛본 마르탕 피카르(Martin Picard, 프랑스) 씨는 “1년에 한 번 있는 행사를 운 좋게 보게 돼 기쁘다”며 “첫 한국 방문에서 이런 행사를 통해 한국 식문화를 알 수 있게 되어 잊지 못할 것 같다”고 밝혔다. 청의정은 볏짚으로 지붕을 덮은 창덕궁 내 유일한 정자다. 때문에 매년 봄에는 정자 주변의 작은 논에 벼를 심는 모내기 행사가, 가을에는 벼를 수확한 뒤 그 볏짚으로 청의정 지붕을 엮는 행사가 열린다. 이문갑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소장은 “조선시대에는 궁궐 주변의 논을 일컫는 ‘적전(籍田)’에서 해마다 농사를 실천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을 지냈다”며 “이를 기리기 위해 창덕궁에서는 매년 모내기 행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7일 창덕궁 청의정에서 열린 ‘창덕궁 모내기 행사’에서 외국인 관람객들이 떡메치기 체험을 하고 있다. 2018.06.08
    상세보기
  • 0608_moonputin

    문 대통령, 21~23일 러시아 국빈 방문

    ▲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9월 6일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이하나 기자 hlee10@korea.kr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러시아를 국빈 방문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초청으로 2박3일 간 러시아를 방문해 정상회담, 국빈 만찬 등 일정을 갖고 양국 간 협력 방안,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러시아 국빈 방문은 1999년 김대중 대통령 이후 19년 만에 이뤄진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푸틴 대통령과의 세 번째 회담이다. 이번 국빈 방문 기간 중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러시아 하원에서 연설을 한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 등 러시아 주요 인사 접견과 현지 동포들과 한·러 관계에 기여한 러시아 측 인사들을 격려하는 일정도 갖는다. 이어 문 대통령은 23일 러시아 남부 도시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열리는 한-멕시코 양국 대표팀 간의 월드컵 경기에서 대표팀을 응원할 예정이다. 김 대변인은 "이번 정상회담이 신북방정책에서 핵심 파트너인 러시아와의 실질 협력을 확대하고,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서 양국 간의 전략적 소통과 협조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8.06.08
    상세보기
  • 영화 ‘허스토리’, 위안부 생존자들의 잊혀진 작은 승리

    영화 ‘허스토리’, 위안부 생존자들의 잊혀진 작은 승리

    ▲ 일본군 ‘위안부’생존자 할머니들이 일본 시모노세키(하관)와 부산을 오가며 일본 재판부에서 증언하는 장면. 서울 = 강가희 기자 kgh89@korea.kr사진 = NEW“나 혼자 잘 먹고 잘 산 게 부끄러워서”영화 속 한 마디 대사로 운을 띄운 민규동 감독은 7일 열린 영화 ‘허스토리’ 시사회에서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최초로 증언한 고 김학순 할머니의 행동 이후 긴 시간 마음의 빚으로 남았다”며 위안부 생존자들을 다룬 영화 연출 계기를 전했다.‘허스토리’는 3명의 위안부와 7명의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의 관부재판 실화를 다룬 영화다. 원고인단 10명이 1992~1998년 일본 시모노세키(하관)와 부산을 오가며 23차례 재판을 진행한 끝에 1심 일부 승소한 과정을 담았다.관부 재판은 일본 정부를 상대로 싸운 수많은 위안부 재판 소송 중에 유일하게 일부 승소를 거두고 국가적 배상을 최초로 인정 받은 재판이다. 하지만 재판부는 경질됐고 일본정부는 즉각 항소해 판결을 뒤집었다. 일본 최고재판소의 기각 결정으로 실제 할머니들은 아무런 사죄나 배상을 받지 못했다. 민 감독은 “위안부 소재 영화 만든다고 세상이 바뀌겠냐는 질문이 쌍둥이처럼 따라온다”며 “세상이 꿈쩍 안 해도 만드는 우리, 보는 우리들은 조금씩 바뀌니까, 그게 세상이 바뀌는 큰 신호 중에 하나”라고 답했다.위안부 생존자는 6월 초 현재 28명뿐이다. 잊지 않기 위해 더 많은 위안부 소재 영화가 나와야 하는 이유다. 김희애•김해숙 주연. 27일 개봉.▲ 관부 재판으로 일본 언론의 주목을 받은 위안부 생존자들. ‘허스토리’ 영화 속 한 장면. 2018.06.08
    상세보기
  • ‘북미회담’ 싱가포르에 한국프레스센터 개설

    ‘북미회담’ 싱가포르에 한국프레스센터 개설

    ▲ 6월 12일 북미정상회담을 취재하는 한국 내∙외신 취재진들을 위한 한국프레스센터가 싱가포르 시내 스위소텔 더 스탬포드 호텔에서 11~13일 운영된다. 사진은 4월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 마련된 ‘2018 남북정상회담’ 메인프레스센터. 코리아넷DB 손지애 기자 jiae5853@korea.kr 12일 ‘북미정상회담’을 취재하는 내∙외신취재진을 위해 한국프레스센터가 개최지 싱가포르에 운영된다.한국언론진흥재단은 회담이 열리는 센토사섬에서 약 8km 떨어진 스위소텔 더 스탬포드호텔에 한국프레스센터를 설치,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프레스센터는 11일부터 13일까지 500석 규모로 운영된다.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2차장이 이곳에서 회담 결과 관련 한국 정부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이곳에서는 국내∙외 외교안보전문가 초청 언론포럼도 진행된다.‘한반도와 평화회담(Peace Talks and Korean Peninsula)’을 주제로 11일 열리는 포럼에서는 안나 파이필드(Anna Fifield) 워싱턴포스트 서울∙도쿄 지국장의 사회로 존 델러리(John Delury) 연세대 교수와 션 호(Shawn Ho) 싱가포르 난양기술대 라자라트남 국제연구소 연구원 등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전망과 한반도 평화에 대해 논의한다. 13일 포럼에는 저명한 외국 언론들이 한국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반도 문제 관련 의견을 교환한다. 2018.06.08
    상세보기
  • 한국, 북한 지지 힘입어 국제철도협력기구 가입

    한국, 북한 지지 힘입어 국제철도협력기구 가입

    ▲ 비무장지대를 가로지르는 DMZ 평화열차. 코리아넷 DB 김태원 기자 twkim0717@korea.kr 한국이 국제철도협력기구(OSJD)에서 북한을 비롯한 모든 회원국의 만장일치 지지를 받아 정회원국 자격을 얻어 유라시아 철도와 연결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국토교통부는 5일부터 키르키즈스탄 비슈케크에서 열리고 있는 제46차 OSJD장관회의에서 대한민국 가입이 의결됐다고 7일 밝혔다.국제철도협력기구는 유럽-아시아 간 국제철도 운영을 위해 1956년 창설된 국제기구로, 현재 중국횡단철도(TCR),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등 유라시아 횡단 철도가 지나가는 28개국이 정회원으로 가입돼 있다.한국은 2015년 이후 가입을 추진해왔으나 북한 반대로 가입이 무산돼 왔다. 하지만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남북 정상이 철도 협력을 논의한 뒤 열린 이번 회의에서 북한이 찬성 의사를 밝혀 한국 가입이 최종 결정됐다.국토교통부는 “OSJD 가입으로 한국 철도의 유라시아 철도망과의 연계를 위한 국제적 기반이 마련됐다. 남북 경협 등 향후 남북관계 진전에 따라 OSJD 가입 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2018.06.07
    상세보기
  • 박세은, 무용계 아카데미상 ‘브누아 드 라 당스’ 수상

    박세은, 무용계 아카데미상 ‘브누아 드 라 당스’ 수상

    ▲ 한국인 무용수 박세은이 5일(현지시간) 무용계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Benois de la Danse) 시상식에서 최고 여성무용수상을 받은 후 환히 웃고 있다. 서애영 기자 xuaiy@korea.kr사진 = 연합뉴스한국인 무용수 박세은이 5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볼쇼이극장에서 열린 무용계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Benois de la Danse)에서 최고 여성무용수상을 받았다. 박세은은 현재 프랑스 파리오페라발레단에서 제1무용수로 활동하고 있다. 조지 발란신(George Balanchine)의 안무작 ‘보석’(Jewels) 3부작 중 ‘다이아몬드’에서 주역 연기를 안정된 기술과 뛰어난 표현력으로 훌륭히 해내며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박세은은 시상식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해 아주 놀랐다”고 소감을 밝혔다.초등학교 3학년 때 발레를 시작한 박세은은 지독한 ‘연습벌레’로 유명하다. 2011년 준단원으로 1669년 설립된 세계 최고(最古) 발레단인 파리오페라발레에 입단했다. 2016년 아시아 무용수로 처음 제1무용수에 발탁됐다. ▲ 러시아 모스크바 볼쇼이극장에서 5일(현지시간) 열린 '브누아 드 라 당스’(Benois de la Danse) 시상식에서 최고 여성무용수상을 받은 박세은이 수상 후 갈라 공연에서 조지 발란신의 ‘보석’(Jewels) 3부작 중 '에메랄드'를 연기하고 있다.‘브누아 드 라 당스’는 ‘춤의 영예’라는 뜻으로 1991년 국제무용협회 러시아 본부가 프랑스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장 조르주 노베르(Jean Georges Noverre, 1927~1810)를 기리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 매년 세계 각국 정상급 단체가 공연한 작품을 대상으로 심사하며 무용, 안무가, 작곡가 등에게 수여한다. 한국인 중에서는 발레리나 강수진(1999년), 김주원(2006년), 발레리노 김기민(2016년)에 이은 4번째 수상이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6일 박세은에게 축하의 뜻을 전했다. 도 장관은 “발레의 탁월한 예술성을 전 세계에 알리고 한국 무용계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며 “앞으로 한국 국민과 세계인들에게 최고의 발레리나로 사랑 받으며 오래 기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18.06.07
    상세보기
  • 포브스 '혁신 기업 100', 네이버 9위 등 한국기업 4곳

    포브스 '혁신 기업 100', 네이버 9위 등 한국기업 4곳

    ▲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혁신기업 100개 순위에서 네이버가 작년에 이어 9위를 차지했다. 연합뉴스이윤서 기자 clo1120@korea.kr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혁신 기업 100대 순위에서 네이버가 9위, 셀트리온이 14위를 차지한 것을 포함해 한국 기업 4곳이 이름을 올렸다.네이버는 한국 최대 규모의 포털 사이트로, 혁신 기업 순위에서 10위에 랭크된 미국의 페이스북(Facebook)을 한 단계 앞섰다. 또 셀트리온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바이오 시밀러(복제약)를 개발·판매하고 있는 바이오제약 기업이다.이어 화장품 전문 기업인 아모레퍼시픽이 18위, 생활문화 제품을 생산하는 LG생활건강이 27위를 차지해 한국 기업 4곳이 100위 안에 꼽혔다.포브스는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를 얼마나 지속해서 만들 수 있는 지 평가해 지수화한 '혁신 프리미엄'(Innovation Premium)을 기준으로 매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 혁신 기업 1위는 미국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인 서비스나우(ServiceNow)가 차지했다. 2018.06.07
    상세보기
  • 주한미군이 촬영한 6·25 희귀사진 239장 공개

    주한미군이 촬영한 6·25 희귀사진 239장 공개

    ▲ 대전역 인근 중앙로에서 교통정리하는 헌병김은영 기자 eykim86@korea.kr사진 = 대한민국 육군6·25전쟁 참전 미군이 한국 곳곳을 찍은 희귀사진 239장이 현충일을 앞둔 5일 공개됐다.대한민국 육군이 공개한 사진은 6·25전쟁 당시 미군으로 참전한 고 토마스 상사(1910~1988)가 1952년 서울, 수원, 대전, 대구, 인천, 공주 지역을 35mm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들이다. 외손자인 뉴턴 주한 미8군 소속 1지역대 사령관이 기증했다.지금은 없어진 대전 영렬탑과 둔산지구 비행장, 6·25전쟁 당시 폭격으로 파괴된 수원화성 장안문, 팔달문 등이 담겨 있다. 당시 한국과 미국 군인들의 복장과 무기, 훈련 모습, 대전역과 시장, 빨래터 풍경도 담겨 있다.대한민국 육군 관계자는 “1950년대 초 한국의 경관과 건축, 시민들의 모습까지 생생하게 보여줘 향토문화 연구 사료로 매우 높은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육군 홈페이지(www.army.mil.kr)에서 해당 사진을 볼 수 있다. ▲ 대전 영렬탑과 대전시가지▲ 대구역 북쪽 금호강 인근 빨래터▲ 6·25전쟁 당시 미군과 폭격에 끊어진 공주 금강철교 2018.06.07
    상세보기
  • 서울시, 119 소방차량 11개 국가에 지원

    서울시, 119 소방차량 11개 국가에 지원

    ▲ 길 터주기 훈련 중인 서울 서대문구 소방차. 연합뉴스김영덕 기자 kyd1991@korea.kr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소방차량 운영이 열악한 페루, 필리핀, 몽골 등 11개 국가에 119 소방차량을 지원한다고 7일 밝혔다.소방재난본부는 “2012년부터 저개발국에 지원한 차량은 모두 69대”라며 “올해 추가로 22대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원 대상 소방차량은 펌프차, 물탱크차, 지휘차, 구급차, 구조공작차, 화학차 등이다.운송 비용은 서울시 대외협력기금을 활용하거나 요청국가에서 일부 부담한다. 2018.06.07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