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세종은 ‘자율주행차’, 부산은 ‘전기요금 0원’
▲ 16일 서울 상암동 DMC 첨단산업센터 행사장에 마련된 부산 에코델타시티 부스에서 한 시민이 스마트시티 가상 체험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은영 기자 eykim86@korea.kr세종 스마트시티에 사는 직장인 A씨는 자율주행차를 타고 사무실로 출근한다. 차세대 이동통신(5G)에 기반한 인공지능(AI)이 교통흐름 데이터를 분석하고 빠른 길로 안내해 출퇴근 스트레스가 사라졌다. 사무실에 도착하니 세종 코인으로 주문한 서적과 스마트 팜에서 기른 토마토가 드론을 통해 배달됐다. 부산 스마트시티에 사는 주부 B씨는 매서운 추위 속에서도 친환경 에너지 덕분에 전기료가 절감돼 0원에 가까운 전기요금을 냈다. 생수도 더 이상 구매하지 않는다. 수도꼭지만 틀어도 스마트 상수도 시스템을 통해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 정부가 제시한 도시의 주요 공공 기능을 첨단 정보통신기술로 연결한 미래도시 ‘스마트시티’의 청사진이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세종 5-1 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에 2021년까지 스마트시티를 조성한다는 내용의 국가 시범도시 기본 구상안을 발표했다. 이 안에 따르면 여의도보다 조금 작은 면적 2.74㎢의 세종 5-1 생활권은 ‘공유 자동차 기반 도시’로 조성된다. 도시 안에선 자율주행차ᆞ공유차ᆞ자전거로 이동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암호 화폐로 결제를 하고 드론ᆞ로봇을 통해 물건이 배달되거나 응급치료를 받게 된다. 면적 2.19㎢의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낙동강과 평강천 등 도시에 인접한 물과 수변 공간을 활용한 ‘친환경 물 특화 도시’로 조성된다. 하천 물을 이용해 물과 대기의 온도 차를 열로 교환하는 수열 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를 토대로 가정별 전기요금을 대폭 절감한다. 빌딩형 정수시설을 배치해 정수된 물을 가정에 공급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첨단 기술을 도시에 접목시켜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스마트시티를 성공시켜 운영한 경험을 해외에 공유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는 추가적인 의견수렴과 민간기업 참여방안 논의를 거쳐 12월에 구체적인 시행계획이 수립될 예정이다. 2018.07.17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