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한국 영토”, ‘독도의 날’ 행사 다채
▲ 독도 전경. 코리아넷DB이경미 기자 km137426@korea.kr25일 ‘독도의 날’을맞아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기념행사를 열고 독도 수호 의지를 대내외에 알렸다.‘독도의 날’은 1900년10월 25일 고종황제가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이라고 명시한 데서 유래됐다. 2000년독도수호대가 ‘독도의 날’을 지정했고, 2010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독도학회 등 민간단체들이 ‘독도의날’을 선포했다. 국가 기념일은 아니지만 독도에 대한 관심이뜨거워지면서 이 날을 기념해 매년 전국 곳곳에서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알리는 행사가 열리고 있다.독도가 속한 행정구역인 경상북도는 2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기념식과 함께 대한민국 독도국제음악제를 열었고, 안동역 광장에서 독도사랑 플래시몹도 선보였다.앞서 지난 19~20일 경북 포항시에선 독도문화대축제가열려 다양한 공연이 펼쳐졌다. 폐막식에서 첫 선을 보인 뮤페라(뮤지컬+오페라) ‘신세계 독도’는노래와 연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라는 메시지를 전달해 눈길을 끌었다.교육부와 동북아역사재단은 25일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주장한‘일본 초‧중‧고 개정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 고시와관련한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 이와 함께 독도교육 영상자료를 배포하고, 오는 27∼28일 전국 중고생들이 참가하는 독도 체험 발표대회도연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는 SNS 캠페인 ‘독도! 독립운동가의 심장, 우리가 꿈꾼 대한민국을 기억하라’를 펼치고 있다. 독도와 의병, 일제강점기에 사용된 태극기와 현재 태극기를 이어 만든 이미지로 구성된 디지털 콘텐츠를 페이스북(www.facebook.com/vankprkorea)을통해 배포하고, 독도 사진 80컷을 SNS를 통해 세계로 퍼뜨린다는 계획이다. 반크는 또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1억4000명의외국인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 동해와 독도를 알리는 사이트(russia.prkorea.com)도 구축했다.독도 이장김성도 씨가 지난 21일 별세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후 그의 뒤를 이어 ‘독도 지킴이’가 되겠다는 문의가전국에서 쇄도하고 있다. 김씨는 1991년 부인과 함께 주민등록을독도로 옮겨 지금까지 독도를 지켜왔다. 독도 수호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의 의지는 뜨겁다는 것을 보여주는사례다. 2018.10.25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