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스마트 도시’가 뜬다
▲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혁신전략 보고회’에 참석에 앞서 발로 밟아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압전에너지' 기기를 개발한 에이치앤제이의 부스를 방문해 체험하고 있다.민예지 기자 jesimin@korea.kr사진 = 청와대“출퇴근 등 도로에서 소비하는 시간 60시간, 행정처리 20시간, 병원 대기 5시간 등 1년에 124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가 만들어진다.국토교통부와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스마트시티 혁신전략 보고회를 열고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부산과 세종을 대상으로 하는 이 계획에 따라 올해 안에 조성공사가 착수되고 주민 입주는 2021년 말로 계획돼 있다.먼저 세종시는 공유교통수단과 자율주행 등의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도입해 생활 편의성은 높이고 자동차 수는 감소시킨다.자율 주행차, 공유 자동차, 전동보드, 자전거 등만이 다닐 수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전용도로’가 마련되고 개인소유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구역이 조성될 예정이다. 보행자 안전을 강화한 스마트신호등과 스마트횡단보도 또한 마련된다.응급용 드론을 활용한 응급키트 발송, 구급차 내 화상 연결을 통한 환자정보 전송, 환자 상태에 따른 맞춤형 의료서비스 등의 헬스케어도 핵심서비스로 제공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혁신의 플랫폼 함께 만드는 스마트시티' 전략 보고회에서 “스마트시티는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형 도시”라고 강조했다.부산에서는 일상 곳곳에서 로봇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로봇이 대신 발레파킹을 해주는 주차 로봇, 가정용 AI 비서 로봇, 웨어러블 로봇, 물류 이송 로봇, 재활센터 의료 로봇 등이 시민의 삶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만들어 시민들은 생활 전반에서 로봇과 함께 호흡하게 된다. 이날 행사장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은 “스마트시티는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형 도시”라고 강조했다.이어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통합안전관리시스템으로 지진과 화재 같은 재난정보를 즉각 알게 되고, 소방차의 출동시간이 5분 내로 단축되며, 도시의 범죄율과 교통사고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고 역설했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내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관련 규제를 과감하게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스마트시티형 규제 샌드박스’ 도입 또한 추진 중이다.한국은 작년 1월 세계 최초로 국가적 차원의 ‘스마트시티 시범단지’를 조성해 관련 법률을 제정하는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19.02.1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