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손잡은 북미 정상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 첫날인 27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박길자 기자 krun@korea.kr사진 = 연합뉴스한반도 미래를 가를 역사적인 ‘핵 담판’의 날이 밝았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1박 2일 일정으로 북미정상회담에 나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이하 현지시간) 단독정상회담과 확대정상회담을 갖고 핵심 의제인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둘러싼 본격 협상에 돌입한다. 두 정상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린 첫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완전한 비핵화,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의 구체적 조치를 논의한다. 이어 오찬을 갖고 오후에 ‘하노이 선언’에 공동 서명한 뒤 회담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회담 1일차인 27일 저녁 만난 두 정상은 “위대한 지도자” “통 큰 결단”이라고 상대방을 추켜세우며 회담 성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회동에서 “북한은 어마어마하고 믿을 수 없는 무한한 경제적 잠재력을 갖고 있다. 굉장한 미래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가운데 왼쪽)과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 첫날인 27일(현지시간) 회담장인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원탁 식탁에 옆으로 나란히 앉아 친교 만찬을 하고 있다.김 위원장도 “훌륭한 회담, 훌륭한 상봉이 마련된 것은 각하의 남다른 통 큰 정치적 결단”이라며 “모든 사람들이 반기는 그런 훌륭한 결과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2차 회담이 열리기까지 “많은 고민과 노력, 그리고 인내가 필요했다”며 ‘비핵화의 길’에 대한 고뇌를 토로해 눈길을 끌었다. 두 정상은 첫날 단독회담 후 ‘3+3’ 형식의 친교 만찬을 가졌다. 만찬에는 미국 측에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대행, 북한 측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리용호 외무상이 배석했다. 원형 식탁에 나란히 붙어 앉은 두 정상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해 협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2019.02.28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