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le in Korea] Episode 6 – 한국의 경조사 예절
한국의 경조사 예절 제시는 한국에 온 이후 처음으로 결혼식에 초대받아 한껏 들떴다. 복장은 어떤게 좋은지, 주의사항은 없는지 수현과 페드로에게 조언을 들으면서 한국의 경조사 예절에 대해 배웠다제시: 나 엄청 떨려! 이번 주말에 한국어 선생님 결혼식에 초대받았거든! 한국 결혼식에 가는 건 처음이야.수현: 나도 처음 결혼식에 초대받았을 때 괜히 내가 긴장하고 그랬어.제시: 혹시 내가 알아두면 좋을 정보가 있을까? 특별한 날에 혹시 실수하는 건 없을 까봐 걱정되거든.수현: 글쎄, 내 생각에 특별히 그럴 건 없어. 여자들은 하얀색 원피스는 되도록 입지 않는다는 정도? 신부의 드레스와 비슷하면 안되니깐 말이야. 페드로: 난 축의금을 내는 문화가 색다르더라! 결혼식장에 도착하면 입구 쪽에 신랑, 신부 축의금 접수대가 있어. 그곳에 축의금을 내고 방명록에 이름을 적으면 돼. 축의금을 내면 뷔페 식사권을 주니까 꼭 받아야해!(웃음). 수현: 꼭 축의금만 내지는 않아. 친한 친구의 경우 더러 축하의 의미로 선물을 주기도 해.페드로: 결혼식은 축하하는 자리라 많이 조심스럽지는 않았던 것 같아. 난 진짜 어려웠던 건 장례식장 예절이었어. 수현: 경사보다는 조사 때 실수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지. 한국 사람들 중에서도 조문 예절을 잘 몰라서 미리 알아보고 가는 경우도 많아.제시: 이번 기회에 나도 잘 배워야지.수현: 요즘은 보통 삼일장으로 지내. 그래서 가급적 첫날, 이튿날에 문상을 가는게 좋아. 마지막 날은 아침 일찍 발인이라고 해서 고인을 묘지로 모시기 때문에 사실상 문상이 불가능해. 페드로: 검은색 정장이 기본이지만 없다면 어두운 색의 단정한 옷차림이 좋아. 화려한 액세서리나 옷차림은 삼가 해야하고 맨발은 지양 해야겠지. 장례식장은 신발을 벗고 들어가거든.수현: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먼저 조문객 서명하는 곳이 있거든? 부의록에 이름을 쓰면 돼.페드로: 영정 앞에 가면 국화꽃과 향이 있어. 먼저, 향을 피우거나 국화꽃을 두면 돼. 향을 피울 때는 입으로 불어 끄면 안되고 손으로 흔들어 끄면 돼. 꽃봉오리는 영정을 향하도록 두면 되지.수현: 그리고 나서 고인에게 두 번 절을 올리면 돼. 종교에 따라서 묵념을 하기도 하지. 그리고 상주와 마주보고 다시 한번 절을 하면 돼.페드로: 결혼식 때 축의금을 낸다면 장례식 때는 조의금을 내는 것이 일반적이야. 봉투 앞면에는 한자로 근조(謹弔,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을 나타냄) 또는 부의(賻儀,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라고 적으면 되고, 봉투 뒷면에 조문객의 이름을 적는 거야. 한자 모른다고 걱정할 필요 없어. 장례식장에 봉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페드로: 조문이 끝나면 보통 식사를 하게 돼. 이때 중요한 건 술을 마실 때 건배하지 않는 거야. 수현: 맞아. 건배는 축하의 의미가 담겨있거든.페드로: 부의금은 축의금과 마찬가지로 보통 홀수나 0으로 떨어지는 금액으로 준비하면 돼. 3, 5, 10만원 이렇게.수현: 나는 얼마전 친할머니 장례를 치르면서 많은 조문객들을 봤는데, 조금씩 조문 방식이 달랐어. 제시: 아 그래? 수현: 분향과 헌화 모두 하시는 분도 봤고, 할머니께 절부터 먼저 올리시는 분도 있었어. 소식을 듣고 급하게 오시는 경우에는 어두운 색 옷이 아닌 경우도 있었지. 정말 중요한 건 마음인 것 같아. 물론 가능한 한 조문 예절을 잘 알고 지키는게 좋지만 말이야. 제시: 고마워~ 너희들 덕분에 경조사 예절을 잘 배웠어. 잘 기억하고 있다가 실수하지 않을거야.수현: 결혼식 잘 다녀와~! 아 참 이거 정말 중요한데 결혼식 전에 신부 친구들은 대기실에 일찍 모여서 사진을 많이 찍어. 최소 30분은 일찍 도착하는게 좋을 거야!제시: 혹시 셀카 찍어도 돼?페드로: 하하. 당연하지! 자연스러운 사진 많이 찍어서 신랑, 신부에게 보내주면 엄청 좋아할 꺼야. 입장할 때 동영상 찍어 주는 것도 좋아. 제시: 나 엄청 기대돼. 다녀와서 사진 보여줄게! 글 = 민예지 기자 jesimin@korea.kr 일러스트 = 유하일 작가 2019.08.08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