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532

페이지 671 / 1254

  • 미 역사학자, '욱일기는 공포의 역사 상징' IOC에 금지 촉구

    미 역사학자, '욱일기는 공포의 역사 상징' IOC에 금지 촉구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 대학교 역사학 교수가 1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지에 욱일기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역사를 상기시키므로 도쿄 올림픽에서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글을 기고했다. 가디언지 누리집 갈무리윤소정 기자 arete@korea.kr 한·일 역사에서 대해 연구해온 미국 역사학자가 영국 일간지 '가디언지'에 '2020 도쿄 올림픽'에서일본 욱일기 경기장 반입 허용에 대한 강한 비판을 담은 글을 기고했다. 알렉시스 더든(Alexis Dudden) 미국 코네티컷 대학교 역사학교수는 1일 '공포의 역사가 서린 일본 욱일기, 도쿄올림픽에서 반드시 금지해야(Japan's rising sun flaghas a history of horror. It must be banned at the Tokyo Olympics)'라는 제하 글을통해 평화를 상징하는 올림픽에서 일본 욱일기가 왜 금지되어야 하는지 명백히 했다. 지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미국의 노예제도에 대한 지지를상징하는 '남부연합기(American Confederateflag)' 깃발이 사용됐다면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을 예로 들은 더든 교수는 욱일기는 '전쟁깃발(war flag)'이라 정의하며 아시아의 많은 국가에 침략의 역사와 아픔을 남긴 일본 제국주의를상징하는 욱일기가 도쿄 올림픽에서 사용되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욱일기는 일본 국기가 아니므로 국제올림픽위원회(이하 IOC)는 이를 도쿄 올림픽에서 배제할 권한을 갖고 있다"며 IOC의 대응에 대해 비판한 더든 교수는 도쿄 올림픽에서욱일기 사용을 반대하는 이유는 욱일기가 단순한 상징성을 넘어 한국, 중국, 싱가포르, 필리핀, 미얀마등 수백만명이 욱일기를 보며 잔혹한 역사의 아픔을 되새기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더든 교수는 욱일기에 대한 일본 정부의 조치와 태도에 대해 미국의 책임도 있다고 적시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종전인) 1945년 이후 일어난 많은 문제를 미국이 제대로 다루지 않고 한국과 일본이 스스로 양국 간 역사 문제를 해결하도록방관하면 현재의 갈등은 영원히 계속될 것"이라며 "현재첨예한 양국 갈등으로 인해 미국은 북한에 대한 공동 대응을 골자로 하는 한일 간 군사정보 공유 안보 협정도 유지하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고 비판했다. 2019.11.04
    상세보기
  • 문 대통령, 아베 총리와 단독 환담

    문 대통령, 아베 총리와 단독 환담

    ▲ ‘아세안+3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노보텔 방콕 임팩트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환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박혜리 기자 hrhr@korea.kr ‘아세안+3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태국을 방문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현지시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환담을 나눴다.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아세안+3 정상회의’에 앞서 양 정상이 오전 8시 35분부터 46분까지 약 11분간 매우 우호적이며 진지한 분위기 속에서 환담을 이어갔다고 밝혔다.고 대변인은 이날 두 정상이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양국 관계의 현안이 대화를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며 “최근 양국 외교부의 공식 채널로 진행되고 있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관계 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다”고 밝혔다.이어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고위급 협의를 갖는 방안을 검토해 보자고 제의했고 아베 총리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별도로 만나 이야기를 나눈 것은 지난해 9월 유엔총회 계기로 열린 한·일 정상회담 이후 약 13개월 만이다.한편,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와의 환담에 앞서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 아세안 국가 정상들과 환담 자리를 가졌다. 2019.11.04
    상세보기
  • airpollution and climate change forum

    이 총리,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국제사회 행동해야"

    ▲ 이낙연 국무총리(왼쪽에서 두번째)가 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9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대응 국제포럼'에서 '미래를 위한 파트너십 선언문'에 전자서명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에서부터 리간지에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 이 국무총리,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 학생 대표 최정원 양. 연합뉴스김화야 기자 fayastory@korea.kr"동아시아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협력을 강화하기를 저는 소망합니다"이낙연 국무총리가 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9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대응 국제포럼'에서 밝힌 말이다.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와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ESCAP)가 공동주최한 이번 포럼에서 이 국무총리는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대응에는 국제적 협력이 불가결하다"며 "대기의 흐름에 국경이 없다면, 그 대응도 국경을 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이어 "동북아시아 청정대기 파트너십(NEACAP) 처럼 대화와 협력의 기반은 마련됐다"며 "행동이 따르면 된다"고 덧붙였다.리간지에(李干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은 "대기오염 개선 및 기후변화 대응은 사람들의 복지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의 고향인 지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며 "중국은 개발도상 대국으로서,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국내적으로도 심혈을 기울이고, 다른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이날 이 국무총리, 리간지에중국 생태환경부 장관,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 그리고 미래세대를 대표하는 최정원 학생대표는 녹색기후기금 야닉 글레마렉(Yannic Glemarec)사무총장 등 국내외 환경 관련 350여 명의 전문가가 지켜보는 가운데 '미래를 위한 파트너십 선언문'에 전자서명을 했다. 2019.11.04
    상세보기
  • 강제징용 배상 대법원 판결 1년, 피해자 인권 회복 외치는 일본 단체

    강제징용 배상 대법원 판결 1년, 피해자 인권 회복 외치는 일본 단체

    ▲ 일본 시민단체와 학자들이 잇달아 발표한 성명 ‘즉시 강제동원 피해자의 인권 회복을!’ (왼쪽)와 한국 대법원 판결에 대한 일본 정부와 기업, 미디어의 대응. 각 성명 홈페이지 캡처김은영 기자 eykim86@korea.kr지난해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이 나온 지 1년이 된 지난달 30일, 일본 시민단체와 학자들이 대법원 판결을 지지하고 강제징용 피해자의 인권 회복을 외치는 성명을 잇달아 내놓았다.일본 시민단체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 과 ‘일본제철 전 징용공 재판을 지원하는 모임’은 ‘즉시 강제동원 피해자의 인권 회복을!’이라는 성명에서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 ‘국제인권 규범에 합치하는 획기적인 판결’이라고 평가하며 “일한 정부가 타협의 산물로 맺은 청구권협정이 애매해 장기간 방치한 강제징용 피해자의 구제를 명령한 것”이라고 밝혔다.이들은 피해자들이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의해 막대한 손해와 고통을 받았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일본이 식민지 지배 역사를 마주하지 않고 한국을 적대시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이어 피고 기업인 일본제철이 아베 정권의 압력으로 판결을 이행하고 있지 않다며 “불법적인 강제징용으로 이익을 얻은 기업이 각국의 법령을 준수하지 않고 책임을 다하지 않는 것은 허용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그러면서 “남은 시간이 얼마 없는 피해자를 위해 일한정부와 강제징용에 관련된 기업은 지혜를 모아 하루라도 빨리 문제 해결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앞서 29일에는 일본 한반도 역사학자 모임인 ‘조선사연구회’가 ‘한국 대법원 판결에 대한 일본정부와 기업, 미디어의 대응’에 대한 성명을 냈다.이들은 성명에서 대법원 판결에 대해 “불법적 식민지 지배 하에서 강제징용에 대한 손해배상 위자료가 청구권 협정으로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과 가해 기업의 반인도적 행위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해 피해자의 인권 회복을 요구한 것”이라며 ‘이미 해결됐다’는 주장을 반복하는 일본정부와 언론을 비판했다.그러면서 일본정부와 해당 기업은 식민지 지배하의 가해 사실과 법적 책임을 인정하고 피해자에게 사죄와 배상을 해야 함과 동시에 미래 세대에게 가르치는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9.11.01
    상세보기
  • 일 강제동원 증명 기록물 공개

    일 강제동원 증명 기록물 공개

    ▲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을 증명할 '노무자원 조사에 관한 건'이라는 제목의 조선총독부 기록물 원본이 10월 31일 부산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에서 공개됐다. 연합뉴스서애영 기자 xuaiy@korea.kr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한 한일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의 진상을 규명할 수 있는 내용이 담긴 기록물이 공개됐다.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10월 31일 조선총독부가 만든 '노무자원 조사에 관한 건' 제목의 기록물 원본을 공개했다.해당 문건은 조선총독부가 조선 전역의 노동력을 조사하기 위해 1940년 3월부터 9월까지 각 도에 시달하고 회신받은 공문과 취합된 통계자료로 구성됐다.문건 내용을 보면 조선총독부는 1940년 3월 말 기준으로 해당 도의 남녀별·연령별 노동력 현황을 조사하도록 지시했다. 조사결과 동원 가능인력은 남자 92만 7,536명, 여자 23만 2,641명 등 총 116만 17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시 조선인 총인구 2,354만 7,465명의 5%에 해당하는 것으로, 어린이와 노인, 20세 이상 여성을 제외하면 총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수치다.또한 전업 희망인력은 남자 24만 2,314명, 여자 2만 767명 등 26만 3,081명으로 조사됐다. 이 숫자는 일제가 수립한 노무동원계획에 포함된 조선인 노무 동원 수인 1939년 8만5천명, 1940년 8만8천명, 1941년 8만1천명과 비교해볼 때 1941년 이미 동원인력을 초과한 것이다. 국가기록원은 이것은 일제의 조선인 강제동원이 강제적으로 수행될 것임을 알려주는 통계라고 설명했다.▲ 고(故) 김광렬 선생이 2017년 국가기록원에 기증한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문서와 사진, 도면 등 총 2,337권 중 가이지마(貝島) 오노우라(大之浦) 7갱(노천갱)에서 작업중인 조선인 갱부 사진 사본. 국가기록원이와 함께 국가기록원은 40여 년간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을 수집한 고(故) 김광렬 선생이 기증한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문서와 사진, 도면 등 총 2,337권 중 일부 기록의 원본도 공개했다. 김 선생은 1943년 일본으로 건너가 후쿠오카에서 교직 생활을 하며 일본의 3대 탄광지역이자 조선인 강제 동원지인 치쿠호(築豊) 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인 강제동원 기록물을 수집하고 연구해왔다. 여기에는 강제동원 현장의 참상을 보여주는 ‘가이지마(貝島) 오노우라(大之浦) 제6·7갱 탄광직원 명부’ 원본과 관련 사진, 명부 수집 경위가 기록된 ‘김광렬 선생 일기(1976년 7~8월)’ 원본이 포함됐다. 특히 오노우라 탄광 직원 명부는 이번에 처음 공개된 것으로 강제동원 피해자가 추가로 확인될 수 있다.국가기록원은 "이 기록은 일제가 조선인 동원이 강제적인 것이었으며 강제동원을 사전에 얼마나 계획적이고 치밀하게 준비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김 선생이 기증한 기록물 가운데 강제동원 근로자 명부, 건강보험대장 등 248권에 수록된 약 14만 명에 달하는 근로자의 인적사항을 연내에 국가기록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2019.11.01
    상세보기
  • 총리가 제안한 '경찰 수소전기버스' 공개

    총리가 제안한 '경찰 수소전기버스' 공개

    ▲ 이낙연 국무총리가 31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앞에서 열린 '경찰수소버스 시승식'에서 경찰 기동대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강가희 기자 kgh89@korea.kr이낙연 국무총리가 31일 첫 공개된 경찰 수소전기버스에 올랐다.이 국무총리는 지난해 10월 24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광화문에서 공회전하는 경찰버스를 수소버스로 교체하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1년이 조금 지난 이날 공개된 경찰 수소전기버스를 둘러본 이 국무총리는 “2028년까지 모든 경찰버스를 수소전기버스로 교체하겠다”며 “경찰 수소전기버스는 경찰의 근무여건 개선뿐만 아니라 주변 시민들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기존 내연기관 경찰버스는 경찰 업무 특성상 장시간 한 장소에 배치되고 냉·난방을 위한 공회전으로 매연, 소음 등에 관련해 적지 않은 민원의 원인이 되어왔다.유해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경찰 수소전기버스는 이날 광화문과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 배치됐다.경찰청은 오는 2020년 저상형 수소전기버스 2대를 추가로 구매하고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수소전기버스로 교쳬하는 것과 함께 경찰 수소전기 순찰차의 개발 및 보급도 추진할 예정이다.정부가 미래차 시장 선도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수소차 개발 및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 청소 트럭 등 다양한 특수목적차량의 수소차를 개발해 오는 2030년까지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낙연 국무총리(가운데)가 31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앞에서 열린 ‘경찰 수소전기버스 확대를 위한 협약식'에 참석해 업무협약 체결을 축하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2019.10.31
    상세보기
  • 한국 최대 쇼핑축제 '코리아 세일 페스타' 개막

    한국 최대 쇼핑축제 '코리아 세일 페스타' 개막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31일 명동 유네스코길에서 ‘2019 코리아세일페스타’ 홍보모델 강호동 씨와 이야기를 나누며 환하게 웃고 있다. 서울 = 김영덕 기자 kyd1991@korea.kr사진 = 김순주 기자 photosun@korea.kr한국 최대 쇼핑 축제인 ‘2019 코리아세일페스타’의 개막을 하루 앞둔 31일 외국인들에게도 친숙한 쇼핑의 중심 명동에서 거리 홍보 행사가 열렸다.올해로 네 번째를 맞이한 코리아세일페스타는 11월 1일부터 22일까지 약 3주 간 전국 각지의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계속된다. 역대 최대 규모인 630여개 유통 및 서비스 업체들이 참여하며 참여 기업들은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 큰 폭의 할인 혜택을 제공 할 예정이다. 거리 홍보 행사에 참석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코리아세일페스타가 소비자에게는 사는 즐거움을, 기업에게는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며 최대 쇼핑 행사로서 코리아세일페스타가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코리아세일페스타 참여 기업과 할인 혜택 정보는 공식 누리집 (https://www.koreasalefesta.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1일 명동에 위치한 ‘2019 코리아세일페스타’ 참가 업체에서 제품을 직접 구매하고 있다. 2019.10.31
    상세보기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경찰 경호경비단 출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경찰 경호경비단 출범

    ▲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안전을 책임 질 경찰 경호경비단이 30일 부산시 해운대구 수영만 요트경기장에서 발대식을 가졌다. 사진은 발대식에서 경찰특공대가 테러범을 진압하는 시범을 보이는 모습.송밝은 기자 brightsong@korea.kr사진 = 부산지방경찰청'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이하 특별정상회의)'의 기간 동안 안전을 책임지게 될 '경찰 경호경비단(이하 경호경비단)'이 30일 출범했다.부산경찰청은 해운대구 수영만 요트경기장에서 발대식을 갖고 특별정상회의 기간 동안 참가국 정상들의 완벽한 경호와 안전을 확보하겠다는 다짐을 했다.민갑룡 경찰청장은 “작은 테러 위험에도 철저하게 대비하여 참가국 정상들의 완벽한 경호 안전을 보장하는 등 최상의 안전상태 유지가 필요하다”며 “특별정상회의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는 순간까지 행사장 안팎의 안전과 질서를 굳건히 수호해 달라”고 당부했다.▲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경찰 경호경비단이 30일 부산 해운대구에서 발대식을 갖고 경찰특공대의 대테러 진압 훈련을 선보이고 있다.▲ 김창룡 부산경찰청장이 30일 ‘경찰 경호경비단 발대식’에서 '경찰 경호경비단' 단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9.10.31
    상세보기
  • 191031_kccnov_m

    [2019년 11월] 주프랑스 한국문화원 확장 개원

    ▲ 11월 20일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다시 개원하는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은 특별 전시회, 공연 등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주프랑스 한국문화원김혜린 기자 kimhyelin211@korea.kr 재외 한국문화원은 외국에 한국 문화를 알리고 관련 체험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1979년 문을 열어 현재 전 세계 27개국에 32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매년 문화재∙예술품 전시, 전통 음악∙무용 공연과 함께 한글, 태권도, 국악, 서예, 요리 등의 체험 활동을 지원하고 주재국과 협업해 행사를 진행한다. 코리아넷은 올해 재외문화원이 준비한 다채로운 행사를 매달 초 소개한다. 누구에게나 활짝 열려 있는 재외 한국문화원에서 한국을 만나보자. 전 세계의 한국문화원들이 기획한 다채로운 11월 문화 예술 프로그램들 가운데 새단장한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의 개소식이 눈길을 끈다.지난 1980년 유럽 내 최초 한국문화원으로 프랑스 파리에 문을 연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은 개원 39년 만에 시내 중심가 8구으로 확장 이전한다. 한국관광공사와 콘텐츠 진흥원과 함께 입주해 한국문화예술을 입체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3,756m2의 규모의 새 문화원 건물에는 한국문화체험관 및 한식체험관(485㎡), 공연장(118석)과 대규모 전시실(500㎡), 도서관(345㎡), 강의실(185㎡) 등이 갖춰져 보다 많은 관람객을 수용하고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오는 20일 문을 여는 한국문화원은 특별전 ‘때깔’, 특별공연 ‘묵향’, K-music 콘서트, 웹툰 전시 및 애니메이션 상영, 한식 아틀리에, IT 컨퍼런스 등 20여개의 행사들을 2020년 2월까지 진행해 새 문화원을 집중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https://www.coree-culture.org/)이밖에 여러 지역의 한국문화원이 11월 준비한 특색 있는 문화행사를 이어서 소개한다.주아랍에미리트 한국문화원 정관스님과 함께 배우는 사찰음식 요리 강좌(Korean Temple Food - Cooking Class with Jeong Kwan)가 오는 1일부터 5일까지 문화원 수라간 및 아리랑홀에서 열린다. 1일은 일반인, 3일은 현지 요리사를 대상으로 강좌가 이뤄지며 5일에는 발우공양 체험이 예정되어 있다.http://uae.korean-culture.org/en/719/board/488/list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문화원은 오는 8일부터 30일까지 한국영화 100주년을 기념해 아르헨티나 국립미술관 내 상영관에서 한국영화 특별상영회를 개최한다. 역사적 한국영화 100선 중 '하녀', '공동경비구역 JSA' 등 9편을 무료로 상영할 예정이다.http://argentina.korean-culture.org/es/464/board/191/list주일 한국문화원14일과 15일 양일간 특별기획 뮤지컬 ‘1446’이 문화원 내 한마당홀에서 펼쳐진다. 한국의 최신 무대공연을 선보이는 연말 특별공연으로 세종대왕의 일생을 드라마틱하게 그린 뮤지컬 공연이다.https://www.koreanculture.jp/info_news.php주나이지리아 한국문화원문화원은 12일 연중행사인 '한국문화축제 2019(Korean Cultural Festival 2019)'를 아부자 트렌스콥 힐튼호텔에서 개최한다. 올해는 유튜브 인기보컬 서울예술대학교 최진솔 학생 및 8명의 초청 공연팀의 축하공연, 한국기업제품전시, 한식 소개 코너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http://ngr.korean-culture.org/en/298/board/247/list 2019.10.31
    상세보기
  • [이제는 아세안 ⑥] 아세안 에너지 강국, 브루나이

    [이제는 아세안 ⑥] 아세안 에너지 강국, 브루나이

    코리아넷은 오는 11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를 맞아 문 대통령의 아세안 10개국 방문 성과와 교역 상황, 그리고 향후 경제 협력 가능성에 대해 소개한다.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11일(현지시간) 브루나이 왕궁에서 하사날 볼키아(Haji Hassanal Bolkiah) 국왕과 환담하고 있다. 청와대 정주리 기자 etoilejr@korea.kr브루나이는 인구 43만의 작은 나라이지만, 원유와 천연가스를 기반으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가 3만 달러가 넘는 자원 부국이다. 한-아세안 대화조정국이기도 한 브루나이는 한국과 아세안 간 관계 발전의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월 양자외교 차원에서는 한국 대통령으로는 19년 만에 브루나이를 국빈 방문해 협력 분야를 다각화하고 '신남방정책'의 핵심지역인 아세안과의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협력을 강화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11일(현지시간) 우리나라 기업이 건설 중인 브루나이 템부롱 대교 건설현장을 방문해 직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청와대 페이스북양국은 1994년 수교 이래 에너지·인프라 분야를 중심으로 긴밀한 협력을 다져왔다.브루나이는 지난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100만톤의 액화천연가스(이하 LNG)를 수출했으며, 한국 기업들은 1970년대부터 브루나이의 최대 규모 모스크인 ‘볼키아 모스크’와 ‘리파스 대교’ 등 다수의 대형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에너지 분야의 경우 지난 3월 양국은 가스전 개발, 수송, 판매 등 생산에서 발전에 이르는 LNG 관련 사업을 일원화하는 ‘LNG 밸류체인’의 협력이 더욱 확대되도록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LNG 밸류체인' 협력은 단순한 교역 차원을 넘어 양국이 에너지 전 분야에 걸쳐 시너지를 추구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와 함께 양국은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를 비전으로 하는 한국 정부의 ‘신남방정책’과 산업다변화를 주요 골자로 하는 브루나이의 장기 국가발전 전략 ‘비전 2035(Vision 2035)’이 사람을 중심에 놓고 상생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고 평가하며, 두 국가 전략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호혜적이고 상호보완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하사날 볼키아 국왕이 지난 3월 11일(현지시간) 브루나이 왕궁에서 열린 양해각서(MOU) 서명식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2019.10.30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