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석학, 장기적 관점으로 한·일 갈등 해법 모색 강조
▲ 로렌 리처드슨 호주국립대학교 교수가 10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국제심포지엄: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하여'에 참석해 한·일 관계 개선 방안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서울 = 윤소정 기자 arete@korea.kr사진 = 김순주 기자 photosun@korea.kr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및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10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국제심포지엄: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하여'에 참석한 국내·외 석학들이 피해자의 관점에서 장기적인 해법을 모색할 것을 주문했다.로렌 리처드슨 호주 국립대학교 아태외교학 교수는 "피해자들을 만났던 경험에 비추어볼 때 이 문제는 단 번에 해결될 수 없고 장기간에 걸쳐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양국 관계의 근본적인 규범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규범 정립에는 피해자 중심의 '상향식(bottom-up) 접근'을 취하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오사무 오타 일본 도시샤 대학교 국제학 교수는 10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국제심포지엄: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하여'에 참석해 아사히신문이 '한국을 좋아하는가, 싫어하는가'를 주제로 지난 9월에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오사무 오타 일본 도시샤 대학교 국제학 교수는 “(1965년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에는 일제 식민지배 하의 전시 강제동원 피해의 진상규명, 책임추궁, 이에 따른 사죄와 보상 등 ‘과거극복’이 없었다”고 꼬집었다.이어 “일본 기업이 피해자의 인권과 존엄성을 우선시하며 ‘과거극복’을 진행하면 (일본이) 인권을 중시하는 사회임을 국제사회에 표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한·일 관계의 이상향으로 양국이 지난 1998년 채택한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소개한 이수훈 경남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전 주일대사)는 "당시 양국은 선언을 통해 겸손과 용서의 중요성을 일깨워줬다"고 회고했다. 이 교수는 "양국이 역사인식 문제와 경제·문화 협력을 분리시키는 '투트랙(two-track) 접근 방식'으로 현재 갈등의 해법을 강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학자들은 한·일 관계 개선 해법으로 역사교육의 중요성도 빼놓지 않았다. 다케나가 아키코 미국 켄터키대학교 교수는 "1990년대 후반 일본 극우파의 득세와 함께 역사미화 움직임이 일어나 일본이 전쟁 가해국임에도 자신을 피해국으로 여기는 왜곡된 '피해의식'이 사회 전반에 퍼지게 됐다"며 "교육의 부재로 인해 피해의식이 더 확산됐다"고 밝혔다. ▲ 루카스 마이어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교 철학 교수가 10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국제심포지엄: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하여'에서 역사적 불의로 인한 피해 배상은 시간이 흘러도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역사적 불의를 바라보는 방식은 희생자를 기리고 진상을 규명하는 과거지향적 접근과 피해 배상을 포함한 미래지향적 접근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 루카스 마이어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교 철학 교수는 "시간이 흘러도 배상의 의미는 유효하다”며 “다만 생존자가 있는 가운데 배상과 사과가 이뤄진다면 그 의미가 다르게 다가올 것”이라고 역설했다.마크 카프리오 일본 릿쿄 대학교 국제문화소통학 교수는 “(한·일) 관계 발전과 협력을 위해 양국 내에서 역사에 대한 기억과 용서, 사죄의 움직임이 필요하다”며 “역사교육, 박물관 전시 등을 통해 젊은 세대가 과거 기억을 상기하고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19.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