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로 감상하는 한국 문화유산
▲ 문화유산을 디지털 기술로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문화유산 나눔방’이 4일 국립고궁박물관에 개관한다. 사진은 나눔방에 마련된 ‘인터랙티브 미디어 월’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문화재청민예지 기자 jesimin@korea.kr수원화성, 고인돌, 석굴암 등 한국의 문화유산을 디지털 기술로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문화유산 나눔방(이하 나눔방)’이 4일 서울 종로구의 국립고궁박물관에 문을 열었다.문화재청은 국립고궁박물관 1층 카페 공간 안에 나눔방을 마련, 관람객들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 실감콘텐츠를 활용해 문화재를 직접 체험하고 정보를 나눌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나눔방은 총 세 구역으로 꾸며졌다.첫 번째 구역에는 최신 기술로 제작한 창덕궁, 한국의 사찰, 대표적인 조선시대 정원 소쇄원 등 디지털 영상 5편이 ‘인터랙티브 미디어 월’에서 제공된다. 관객들은 직접 가보지 않아도 3차원 입체(3D) 영상으로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다.두 번째 공간에서는 창덕궁의 과거, 현재, 미래를 여러 면에 걸쳐 디지털 기술로 담은 ‘다면 미디어아트 영상’을 감상할 수 있고, 세 번째 공간에서는 수원화성과 고인돌∙석굴암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실감 체험을 통해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이외에도 나눔방 안 서가에는 문화재 관련 전문서적, 어린이 역사책, 신간 문학도서 등 1,000여권의 책이 비치되어 있고 인터넷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누구나 독서를 즐기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문화재청은 이번 나눔방 개관으로 “어린이, 청소년들이 직접 문화유산을 체감하고 소통하여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그 가치를 확산해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4차산업 관련 정보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정부혁신을 통한 문화유산 기술도 꾸준히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0.02.04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