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한 정보 공유로 '코로나19' 극복한다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안전안내문자로 거주자와 인근 지역을 방문한 시민들에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을 신속하게 알리고 있다. 사진은 용인시청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2월 21일부터 지난 5일까지 용인시가 지역 거주자에게 발송한 안전안내문자 내역. 김순주 기자송밝은 기자 brightsong@korea.kr방역, 검사, 감염자 관리를 포함한 한국정부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대응 및 투명한 관련 정보 공개에 대해 외신의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문자와 누리집을 통해 코로나19 관련 현황 및 확진자 이동 동선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매일 두 차례 정례브리핑으로 관련 종합 정보를 알리고 있다.이런 투명하고 빠른 정보 공개를 바탕으로 민간에서는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휴대전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과 누리집을 개발해 감염병 확산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앱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지난 2월 11일 출시된 ‘코백’이다.이 앱을 내려받은 이용자가 코로나19 확진자 방문 장소 100m 이내에 접근할 경우 경고 알림을 발송한다. 확진자 이동 동선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인근 감염병 노출 장소를 간편하게 알 수 있어 출시 10여 일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기도 했다. 누리집의 경우 확진자 이동 동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 ‘코로나맵(https://coronamap.site/)', 검색창에 장소명을 입력하면 코로나19 위험 정도를 알려주는 ‘코로나있다(https://coronaita.com/#/)' 등이 감염병 확산 방지를 돕고 있다.한국정부는 코로나19 감염과 관련한 직접적인 정보 외에도 최근 구입에 어려움을 겪어 공적 판매로 전환된 마스크에 대한 정보도 공개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10일 19시부터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한다며 이는 관련 앱 및 누리집에 대해 정부 주도로 개발·공급하는 것보다 정부가 민간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공개하고, 민간은 이 데이터를 활용해 국민의 실질적 수요를 반영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민관 협력 모델이라고 밝혔다.과기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협력해 제공하는 공적 마스크 판매처, 판매현황 등의 데이터는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오픈*API 방식으로 제공된다.*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데이터 접근, 화면구성 등 인터페이스를 통해 누구나 사용 할 수 있게 제공 2020.03.10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