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콕 집어본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 문제점과 강제 징용의 역사
일본 정부가 지난 6월 15일 일반에 공개한 도쿄의 산업유산정보센터가 역사를 왜곡하고 국제사회와 했던 약속을 파기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코리아넷은 산업유산정보센터, 강제 징용 문제와 관련한 궁금증을 외국인이 이해하기 쉽게 Q&A로 정리했다. 정혜경 일제강제동원 평화연구회 연구위원이 Q&A에 도움을 줬다. ▲ 2015년 7월 일본 근대산업시설 23곳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일본 정부는 군함도(하시마 탄광)에서 벌어진 조선인의 강제징용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소개하는 정보 센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연합뉴스김영덕 기자 kyd1991@korea.krQ: ‘산업유산정보센터’는 무엇이 문제인가.A: 일본 정부는 2015년 메이지시대 산업유산 23곳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면서 징용 피해자를 기억하는 전시시설을 마련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산업유산시설 가운데 7곳이 일본의 전쟁 기간 중 조선인, 중국인, 연합군 포로를 동원한 곳이다. 하지만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강제 동원과 조선인에 대한 차별 대우를 부인하는 내용 위주로 꾸며져 있다.Q: 강제동원을 부정하고 있는건가. A: 일본의 전시체제 전에 일반 도일자(1910년대초부터 1930년대까지 일본에 돈벌이를 위해 간 조선인)와 강제동원된 조선인을 구분하지 않고, 일반 도일자의 삶을 마치 강제동원된 조선인의 실태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Q: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에 대한 간략한 역사는.A: 일본이 일으킨 아시아태평양전쟁(1941-1945)을 수행하고자 1938년 4월 국가총동원법을 제정해 일본 본토는 물론이고 식민지, 점령지의 인적, 물적, 자금을 동원한 것이다. Q: 당시 강제 징용의 규모와 종류는.A: 일본 정부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최소 연인원 7,804,376명이 동원됐다. 한반도에서 6,552,883명이 동원됐고, 한반도 이외 지역에서도 1,251,493명이 동원됐다. 동원된 지역은 한반도, 일본, 남사할린, 중국 관내와 만주, 태평양, 동남아시아, 타이완 등이다. 직종별로는 군수공장, 토목건축공사장, 석탄광산, 금속광산, 항만운수작업장, 삼림벌채장, 집단농장 등으로 나눌 수 있다. Q: 일본이 강제 징용에 대한 사과를 한 적이 있는지.A: 일본은 여러 차례 정치인이 공식 석상에서 사과를 했다. 특히 2015년 7월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사토 구니 주 유네스코 일본 대사가 공식적으로 강제동원을 인정했다. Q: 국제사회의 비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은 무엇인가. A: 현재 일본 정부는 '사토 구니 대사가 내용을 잘 몰라서 실언을 했다'는 식으로 변명하고 있다. 사토 구니 대사의 발언은 세계시민을 대상으로 한 공식 발언이라는게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었다.Q: 일본 정부의 입장이 돌변한 이유는 무엇인가. A: 한일 관계 전문가인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아베 정권은 일본이 행한 침략 행위 등을 숨기고 미화시켜 일본군은 문제가 없었다고 주장한다. 일본 자위대를 일본군으로 부활시키기 위해 산업유산정보센터와 같은 왜곡된 역사가 전시된 시설을 운영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Q: 일본 정부는 어떻게 해야 하나. A: 사토 구니 대사가 산업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국제 사회에 약속한대로 '피해자를 기억하는 시설'을 전시하면 된다. 2020.08.24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