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언론, '베를린 소녀상' 철거 반대집회 비중있게 보도···당국, 철거 보류
▲ 독일 베를린 미테구에 세워진 지 한달도 안 돼 사라질 위기에 처한 ‘평화의 소녀상’의 철거가 보류됐다. 사진은 한국 교민과 시민들이 13일(현지 시간) 소녀상 앞에서 철거 반대를 요구하면서 집회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kimmj7725@korea.kr일본의 압력으로 철거 위기에 몰렸던 독일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이 당분간 자리를 지킬 수 있게 됐다. 베를린 미테구청은 13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현지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가 미테구의 소녀상 철거 명령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낸 사실을 언급하면서 "내일인 철거 시한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밝혔다.미테구가 소녀상과 관련해 추가 조치를 내리지 않고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기로 한 것이다. 이에 앞서 현지 시민 및 교민 300명은 13일 소녀상 앞에 모여 집회를 열고 철거 명령을 내린 미테구청 앞까지 30여분 간 행진하며 철거 철회를 요구했고 독일 언론이 이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베를린 지역신문 ’베를리너 자이퉁(Berliner Zeitung)’은 13일 ‘베를린 미테구청장, 위안부 기림비 철거 연기 결정’ 제하의 기사에 이 분쟁이 “전쟁범죄를 저지른 자가 아니라 희생자인 ‘한국인 위안부 여성들’을 기리는 기념비에 관한 문제”라고 보도했다.그러면서 “2차 세계대전에서 살아남은 많은 일본인이 자신들은 범죄자가 아니라 희생자라고 생각한다”며 “이러한 태도가 외국에 설치된 기념비를 넘어뜨릴 충분한 이유가 될까?”라고 지적했다.독일 주요 일간지인 ‘디 벨트(Die Welt)’도 같은 날 베를린 모아비트 지역에서 철거 반대 시위가 개최됐다며 “시위 참석자들 가운데에는 여성들이 다수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일간지 ‘타츠(Taz)’는 사민당 미테구 공동지부장이 “(소녀상이) 전시 여성 성폭력 문제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며 과거사 해결엔 “광범위한 시민 사회가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미테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소녀상이 국제적인 전쟁 피해 여성 인권의 문제라는 점을 인정해 지난해 7월 설치를 허가했다.그러나 지난달 말 제막식 이후 일본 측의 반발이 거세자 지난 7일 소녀상 설치를 주관한 현지 한국 관련 시민단체인 코리아협의회에 오는 14일까지 철거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2020.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