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527

페이지 588 / 1253

  • 서울 도심 하늘에서 드론 택시 첫 비행

    서울 도심 하늘에서 드론 택시 첫 비행

    ▲ 11일 서울 여의도에서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개최로 열린 도심항공교통 실증행사에서 취재진과 관계자들이 전시된 드론 택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서애영 기자 xuaiy@korea.kr 서울 도심 하늘에서 드론 택시가 처음으로 시험 비행을 선보였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K-드론관제시스템을 활용한 드론배송과 드론 택시 시범 비행 행사를 개최했다. 중국 이항사가 개발한 2인승급 유인 드론(EH216)이 사람 몸무게에 준하는 짐을 싣고 여의도와 한강 상공을 비행했다. 현대차와 한화시스템이 개발하고 있는 기체모형과 미국 리프트 에어크래프트사의 1인승급 기체(헥사)도 전시됐다. K-드론관제시스템은 다수 드론의 안전운항을 지원하는 관제시스템으로 드론배송과 드론 택시를 운영하기 위한 핵심 연구개발(R&D) 과제이다. 올해 인천·영월에 이어 서울 도심 내에서 종합 실증을 실시한 것은 처음이다. 앞서 정부는 6월 4일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로드맵’을 발표하고 2025년부터 도심항공교통을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심항공교통은 도심지 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전기동력 비행체를 활용해 도시 권역 30~50km를 이동할 수 있다. 승용차로 1시간인 거리를 20분 만에 갈 수 있어 대도시권 지상교통혼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손명수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앞으로 로드맵에 따라 국내기업들에 대해 드론 택시 기체의 비행기회를 계속 제공하고 상용화를 위한 합리적인 제도를 조속히 마련하는 등 국내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0.11.11
    상세보기
  • 11월 1~10일 수출, 지난해 보다 20.1% 늘어

    11월 1~10일 수출, 지난해 보다 20.1% 늘어

    ▲ 관세청은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액이 지난해 동기 대비 20.1%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5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쌓인 수출입 컨테이너. 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kimmj7725@korea.kr관세청은 11월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이 141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1%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지난해 보다 0.5일 많은 7.5일이었고,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18억 8천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12.1% 늘었다. 수출은 품목별로 반도체(31.9%), 승용차(8.3%), 무선통신기기(33.3%) 등이 증가했고, 석유제품(-24.1%), 컴퓨터 주변기기(-3.1%) 등은 감소했다. 수출 상대국 별로는 중국(14.5%), 미국(23.5%), 유럽연합(40.5%), 베트남(15.8%) 등은 늘었고, 일본(-7.4%), 중동(-4.5%) 등은 줄었다. 이 기간 수입도 133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7.8% 증가했다. 품목별로 반도체(42.0%), 기계류(24.6%) 등이 증가한 반면 원유(-57.9%), 가스(-27.8%) 등은 감소했다. 상대국 별로는 중국(34.8%), 유럽연합(37.4%) 등은 늘었고, 미국(-5.1%), 중동(-59.3%) 등은 줄었다.11월 1일부터 10일까지 무역수지는 7억 6천만 달러 흑자를 냈다. 2020.11.11
    상세보기
  • 한국군 두 번째 3천톤급 잠수함 '안무함' 진수

    한국군 두 번째 3천톤급 잠수함 '안무함' 진수

    ▲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설계하고 건조된 중형급 잠수함 '안무함'이 10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진수식을 가졌다.이하나 기자 hlee10@korea.kr사진 = 대한민국 해군 페이스북한국군 두번째 중형급 잠수함 '안무함'이 10일 착공 4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서욱 국방부 장관은 이날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진수식을 주관했다.국내에서 독자적으로 설계하고 건조된 '안무함'은 3천톤급 규모로, 길이 83.3미터, 폭 9.6미터에 수중 최대속력은 20kts(37km/h) 이상이다. 탑승 인원은 50여 명으로 2018년 9월 진수한 1번함 '도산안창호함'과 동급(장보고-Ⅲ급) 함정이다.안무함은 장보고-Ⅱ급 잠수함 대비 2배 정도 커졌고, 수중 잠항기간이 2주 이상으로 늘어났다. 잠수함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장비인 전투ㆍ음파탐지(소나) 체계를 비롯해 다수의 국내 개발 장비 등을 탑재했다. 전체 국산화 비율은 76%다.잠수함 이름은 일제강점기에 봉오동, 청산리 전투 승전의 주역이었던 안무(安武) 장군(1883-1924)의 이름을 땄다. ▲ 서욱 국방부 장관이 10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열린 '안무함' 진수식에서 연설하고 있다.서 장관은 "머지않은 미래, 우리 해군은 핵심전력인 경항모와 함께 한국형 차기 구축함, 4천톤급 잠수함 등을 갖춘 선진 대양해군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안무함은 앞으로 인수평가 기간을 거쳐 2022년에 해군에 인도되며, 이후 전력화 과정을 거쳐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2020.11.11
    상세보기
  • "가을을 배달합니다"···서울현충원, '가을 음악회' 영상 10일 공개

    "가을을 배달합니다"···서울현충원, '가을 음악회' 영상 10일 공개

    ▲ 국립서울현충원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업적을 기리는 비대면 음악회를 10일과 17일 국립서울현충원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김영덕 기자 kyd1991@korea.kr사진, 영상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9일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가을 정기음악회를 비대면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립서울현충원은 ‘음악회를 배달해드립니다!’는 제목으로 10일과 17일 오후 3시 가을 음악회 4편을 국립서울현충원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다. 국방부 근무지원단 군악대대 관악대의 마칭공연은 10일에, 전통악대와 팡파르대, 교향악대 연주는 제81회 순국선열의 날을 기념해 17일에 공개된다. 국립서울현충원은 오는 13일 현충원의 가을을 배경으로 서초 교향악단의 연주를 담은 가을 영상도 공개한다. 연주회 영상은 국립서울현충원 유튜브(https://www.youtube.com/user/HEYLHY)를 통해 볼 수 있다. 2020.11.10
    상세보기
  • 방탄소년단, MTV 유럽 뮤직어워즈 4관왕

    방탄소년단, MTV 유럽 뮤직 어워즈 4관왕

    ▲ 방탄소년단(BTS)이 8일(미국 동부시간) '2020 MTV 유럽 뮤직 어워즈'(2020 MTV Europe Music Awards, 2020 MTV EMA)에서 '베스트 송'(Best Song), '베스트 그룹'(Best Group), '비기스트 팬'(Biggest Fans), '베스트 버추얼 라이브'(Best Virtual Live) 등 4개 부분에서 수상했다. 2020 MTV EMA 공식 사이트 갈무리서애영 기자 xuaiy@korea.kr 방탄소년단(BTS)이 '2020 MTV 유럽 뮤직 어워즈'(2020 MTV Europe Music Awards, 2020 MTV EMA)에서 4관왕을 거머쥐었다. BTS는 8일(미국 동부시간) 전 세계에 생중계된 ‘2020 MTV EMA’ 시상식에서 '베스트 송'(Best Song), '베스트 그룹'(Best Group), '비기스트 팬'(Biggest Fans), '베스트 버추얼 라이브'(Best Virtual Live) 등 4개 부문을 수상했다. '베스트 그룹'과 '비기스트 팬' 부문은 2018년과 2019년에 이어 3년 연속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특히 올해는 지난 8월 발표한 '다이너마이트'로 처음으로 '베스트 송'을 차지했다. 쟁쟁한 후보들을 제치고 4관왕에 오른 BTS는 영상을 통해 "어려운 시기를 보내는 팬들과 함께 이 노래를 즐기고 싶었다"며 "이 상은 정말 뜻 깊다"고 소감을 밝혔다. BTS는 지난 8월 '2020 MTV 비디오 뮤직 어워즈'(2020 MTV Video Music Awards)에서 '베스트 팝', '베스트 K팝', '베스트 안무', '베스트 그룹' 등 4관왕의 영예를 안았고 지난달 '2020 빌보드 뮤직 어워즈'(2020 Billboard Music Awards)에서는 4년 연속 '톱 소셜 아티스트'로 뽑혔다. 한편, BTS는 오는 20일 새 앨범 '비'(BE, 디럭스 에디션)를 발표할 예정이다. 2020.11.10
    상세보기
  • 세계은행, 코로나19 이후 첫 대면회의 한국에서 개최

    세계은행, 코로나19 이후 첫 대면회의 한국에서 개최

    ▲기획재정부는 지난 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및 국제개발협회와 공동으로 ‘혁신기술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세계은행 한국사무소김혜린 기자 kimhyelin211@korea.kr 세계은행(WB)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처음으로 진행한 대면 국제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했다. 기획재정부(기재부)는 지난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WB 한국사무소 및 국제개발협회(IDA)와 공동으로 ‘혁신기술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WB는 지난 2월 18~20일 미국 워싱턴에서 ‘한국혁신주간’ 행사를 개최한 이후 코로나19로 대면 행사를 하지 못하다가 한국의 성공적인 방역을 감안해 이번 행사를 승인했다. 이번 회의에선 파라과이, 콜롬비아, 온두라스 등 주요국 대사와 국내 디지털·혁신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한국판 뉴딜 소개, IDA 수원국의 혁신기술 개발과제 및 한-WB 협력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윤태식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은 “혁신기술 활성화를 통한 세계경제 회복에 기여하기 위해 WB 혁신기술 허브인 한국사무소에 대해 향후 3년간 3000만 달러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빅토리아 콰콰(Victoria Kwakwa) WB 동아태지역 부총재는 “세계은행그룹 한국사무소를 지속가능개발 지원을 위한 새로운 혁신기술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이를 지원하는 한국정부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아키히코 니시오(Akihiko Nishio) 개발금융 부총재는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혁신기술 의제를 선도하고 있다”며 “한국이 다른 저소득국에 귀감이 될 모범사례“라고 말했다.기재부는 “앞으로도 한국의 포스트코로나 대비 정책을 적극적으로 국제금융기구와 공유하고, 다양한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등 글로벌 정책공조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0.11.09
    상세보기
  • 닛케이 “강인한 한국···역경 극복이 한국의 브랜드”

    닛케이 “강인한 한국···역경 극복이 한국의 브랜드”

    ▲ 일본의 유력 경제지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8일 동아시아 금융 전문가 윌리엄 페섹의 기고를 통해 “역경을 극복해 내는 것이 한국의 브랜드”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 누리집 갈무리 이경미 기자 km137426@korea.kr 일본의 유력 경제지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하 닛케이)가 8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에도 선방하고 있는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 “역경을 극복해 내는 것이 한국의 브랜드”라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동아시아 금융 전문가인 칼럼니스트 윌리엄 페섹(William Pesek)이 기고한 ‘강인한 한국, 개혁될 것인가’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1997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한국이 헤쳐온 과거 위기를 언급하면서 이 같이 평가했다. 닛케이는 “세계 평론가들은 1990년대 이후 한국 경제의 붕괴를 몇 번이나 예측했다”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가 다시 닥칠 거란 예상이 현실화 되면서 투자가들이 출구로 쇄도할 것이라 여겨졌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국 경제는 10월에 발표한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플러스로 전환됐다”며 “(한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에 승리했다”고 전했다. 올해 3분기 GDP 반등을 이끈 것은 전기 대비 15.6% 증가한 수출이라고 분석하면서 “당장의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난 한국은 오랫동안 미뤄왔던 과감한 구조개혁에 나서야할 때”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를 억제하고 성장을 이룬 것이 문재인 대통령에게는 경제성장의 구성요소를 재조정하기 위한 정치적 자본이 될 것”이라며 다른 나라에 비해 아직 재정 확대의 여지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페섹은 “문 대통령에게는 한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이들을 당혹케 할 기회가 주어졌다”는 문장으로 칼럼을 마무리했다. 2020.11.09
    상세보기
  • 베를린 미테구 의회, '소녀상 철거 명령 철회' 결의안 채택

    베를린 미테구 의회, '소녀상 철거 명령 철회' 결의안 채택

    ▲ 독일 베를린 미테 지역 거리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김민지 기자 kimmj7725@korea.kr 독일 베를린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에 대한 철거 명령을 철회하라는 결의안이 통과됐다. 독일 베를린 미테구 의회는 5일(현지 시간) 전체회의를 열고 소녀상 철거에 반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고 현지 일간지 ‘타츠(Taz)’가 6일 보도했다. 미테구 의회 전체회의 표결에는 27명이 찬성했고, 9명이 반대했다. 이로써 지난 지난달 14일까지였던 설치 기간은 1년 연장될 가능성이 커졌다. 결의안은 “평화의 소녀상은 무력충돌 시 여성 성폭력에 대한 논의와 진상규명에 생산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알렉산더 프라이탁 독일 해적당 소속 구의원은 결의안에 대해 “소녀상 덕분에 (이 문제에) 눈 뜰 수 있었다. 지금까지 이런 일을 해낸 기념비는 많지 않다.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철거 반대 이유을 설명했다. ‘평화의 소녀상’ 설치를 주관한 현지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는 7일 페이스북을 통해 "미테의회의 결정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베를린이 가진 개방성을 증명한 것"이라며 “언제든 대화할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다. 앞서 소녀상은 베를린 미테구청의 허가로 지난 9월 말 미테 지역 거리에 설치됐으나 일본의 압력으로 미테구청이 지난달 7일 철거 명령을 내려 시민사회의 반발을 사고 있다. 2020.11.09
    상세보기
  • 문 대통령 "바이든과 열어갈 미래 기대…같이 갑시다!"

    문 대통령 "바이든과 열어갈 미래 기대…같이 갑시다!"

    ▲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의 조 바이든 대통령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후보가 승리한 것과 관련해 8일 트위터에 올린 축하 메시지.이하나 기자 hlee10@korea.kr사진 = 문재인 대통령 공식 트위터 캡처문재인 대통령은 8일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의 조 바이든 대통령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후보가 승리한 것과 관련 "양국관계의 미래 발전에 기대가 매우 크다. 같이 갑시다!"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축하드린다. 우리의 동맹은 강력하고 한미 양국 간 연대는 매우 견고하다"며 이같은 메시지를 전했다. 이어 "나는 우리 공동의 가치를 위해 두 분과 함께 일해 나가기를 고대한다"고 적었다. 문 대통령은 같은 메시지를 영어로도 트위터에 올렸다. ▲ 문 대통령은 8일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조 바이든 대통령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후보를 축하하는 트위터 메시지를 영어로도 올렸다. 2020.11.09
    상세보기
  • 해문홍, 11개 특수외국어로 한국 알리기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해문홍, 11개 특수외국어로 한국 알리기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박정렬 해외문화홍보원 원장(오른쪽)이 11월 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고태진 한국외국어대학교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 원장과 국가 홍보 콘텐츠 공동 제작 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서울 = 이경미 기자 km137426@korea.kr사진 = 전한 기자 hanjeon@korea.kr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이하 해문홍)은 6일 한국외국어대학교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이하 특교원)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특수외국어 교육·보급 확산 및 국가이미지 제고 홍보 협력 업무협약'을 맺었다. 특교원은 특수외국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2018년 3월 설립된 전문 교육 기관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해문홍은 국가 홍보 콘텐츠를 제작할 때, 11개 특수외국어(말레이·인도네시아어, 이란어, 태국어, 폴란드어, 몽골어, 힌디어, 터키어, 헝가리어, 스와힐리어, 우즈베크어, 포르투갈어)로 자막을 넣거나 해당 언어에 기반을 둔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 또 재외문화원을 통해 11개 특수외국어 교육 및 보급 확산을 지원한다. 번역 및 감수를 지원하게 될 특교원은 해문홍이 제작한 콘텐츠를 교보재로 활용해 대한민국 이미지를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양 기관은 11개 특수외국어 사용 지역의 정보를 교환하고 홍보 콘텐츠 제작에도 함께 나선다. 박정렬 해문홍 원장은 “이번 업무 협약 체결로 특수외국어로 제작된 콘텐츠가 더 많아질 것”이라며 “국가 홍보 콘텐츠의 지평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박정렬 해외문화홍보원 원장(왼쪽에서 4번째)이 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고태진 한국외국어대학교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 원장(왼쪽에서 3번째)과 국가 홍보 콘텐츠 공동 제작 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0.11.06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