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527

페이지 572 / 1253

  • 심은경,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 진행∙∙∙한국배우 최초

    심은경,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 진행∙∙∙한국배우 최초

    ▲ 배우 심은경(오른쪽)이 오는 3월 19일 열리는 제44회 일본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진행을 맡는다. 일본 아카데미상 공식 사이트 갈무리이경미 기자 km137426@korea.kr배우 심은경이 제44회 일본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사회를 맡는다. 일본 아카데미상 시상식 측은 27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심은경이 일본 아나운서 하토리 신이치와 함께 오는 3월 19일 개최되는 시상식 사회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심은경은 전년도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자 자격으로 올해 시상식을 진행하게 됐다.심은경은 “지난해 귀중한 상을 받아 감사했고, 올해는 사회자로 시상식에 참석한다”며 “생에 처음으로 진행을 맡게 됐는데 제대로 말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일본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일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심은경은 일본영화 ‘신문기자’로 지난해 열린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받은 바 있다. 일본에서 열린 각종 영화제에서 신인여우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고 있다. 4월에 개봉되는 일본영화 ‘동백 정원’에도 출연했다. 한편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외국작품상에 선정됐다. 일본 아카데미상은 주요 부문의 우수 작품을 선정하고 이 가운데 최우수 작품을 시상식 당일 발표한다. 현지에서는 ‘기생충’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021.01.28
    상세보기
  • 정세균 총리, 외신기자 정책토론회 참석···"백신 물량 남는다면 북한 제공 가능성 닫아둘 필요 없어"

    정세균 총리, 외신기자 정책토론회 참석···"백신 물량 남는다면 북한 제공 가능성 닫아둘 필요 없어"

    ▲ 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오후 서울 중구 외신지원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순주 기자 photosun@korea.kr김민지 기자 kimmj7725@korea.kr정세균 국무총리가 27일 "백신 물량이 남는다면 제3의 어려운 국가 혹은 북한 등에 제공할 가능성을 닫아둘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정 총리는 이날 오후 3시 서울 중구 외신지원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정책토론회에서 '전국민 백신접종으로 집단면역이 된 후에 접종이 어려운 나라, 북한에도 제공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정 총리는 "(기존에 확보한) 5600만명 분에 추가로 2000만명 분의 계약이 된다면 경우에 따라 물량이 남을 수도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어 "우리가 올해 가을쯤이나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9월까지 70% 국민 접종으로 보고 있어서 요즘처럼 하루하루 급변할 때는 그때의 상황을 미리 예단하기 쉽지 않다"면서 "그런 가능성을 열어놓고 고민하겠다"고 말했다.국내 백신 접종 대상자와 관련해서는 “한국 내 장기 거주 외국인들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한국 방역을 세계에 알리는 데 힘쓴 외신기자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국제사회와의 협력도 굳건하게 다져가겠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를 이겨내는 과정도 투명하게 세계와 공유하겠다"며 “한국의 코로나19 진단 기술과 경험이 세계 방역에 기여한 것처럼, 치료와 예방에 있어서도 대한민국이 세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는 유튜브 생중계로 진행됐고, 정세균 국무총리를 비롯해 외신기자 10명 등이 참석했다. 매월 1회 열리는 ‘외신기자 정책토론회’는 정부 주요 인사가 외국 언론에 한국 정책과 현안에 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함께 의견을 나누는 자리이다. 2021.01.27
    상세보기
  • 아르헨티나 유력신문 “김치, 오랜 역사 자랑하는 한국 전통 발효음식”

    아르헨티나 유력신문 “김치, 오랜 역사 자랑하는 한국 전통 발효음식”

    ▲ 아르헨티나의 일간지 라 나시온(La Nación)은 24일(현지 시간) 발행한 신문에서 “김치는 한국 문화를 대표하는 음식”이라고 소개했다. 라 나시온 누리집 갈무리김혜린 기자 kimhyelin211@korea.kr 아르헨티나의 주요 일간지 라 나시온(La Nación)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발효 음식과 그 효능을 소개하면서 김치를 조명했다. 신문은 24일(현지 시간) '발효식품과 프로바이오틱스: 오래된 식품의 재발견 (Fermentados y probióticos: el fenómeno de viejos nuevos alimentos)' 제하의 기사에서 "김치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이라고 소개했다. 기사에서는 발효음식이 장내 건강과 뇌 건강에 필요한 주요 영양소를 제공한다고 전하면서 "김치와 독일식 양배추 절임인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도 포함된다”고 적었다. 특히 김치와 관련해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이라며 “한국에는 가정마다 김치를 담그는 방법이 다양하며, 그 방법에 따라 종류도 수백 가지”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국계 아르헨티나 셰프 이산드라(Sandra Lee)씨의 말을 인용해 "한국인들은 모두 김치 DNA를 가지고 있다고 할 정도로 김치는 한국문화를 대표한다"며 "한국에서는 생채소를 먹을 수 있는 유아기 때부터 김치를 먹기 시작한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 식품의 80%는 발효된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발효된 재료는 더 풍부하고 다양한 맛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며 “김치는 반찬으로만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요리의 재료로도 사용된다”고 덧붙였다. 이산드라 셰프는 "한국인들에겐 음식은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우리가 섭취하는 모든 음식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의 할머니들은 가족들에게 건강을 위해 무엇을 먹어야 하며, 무엇을 먹지 말아야 한다는 잔소리를 자주 한다”며 “그러면서 어떤 음식이 건강에 좋을지 항상 이야기한다"고 설명했다.1870년 1월 창간된 라 나시온은 클라린(Clarín)과 함께 아르헨티나의 양대 일간지로 꼽힌다. 발행 부수는 약 10만부이다. 2021.01.27
    상세보기
  • IMF,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3.1% 전망···0.2%포인트↑

    IMF,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3.1% 전망···0.2%포인트↑

    ▲ 국제통화기금(IMF)은 26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수정치(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3.1%로 상향 조정했다. 연합뉴스 세라 오켈리 기자 sarahoqelee@korea.kr 국제통화기금(IMF)은 26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수정치(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3.1%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2.9%보다 0.2%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IMF 전망치는 지난해 4월 3.4%에서 6월 3.0%, 10월 2.9% 등으로 낮아졌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올라갔다. MF가 전망한 한국의 2020∼2021년 합산 성장률은 2.0%다. 이는 미국(1.5%), 일본(-2.2%), 독일(-2.1%), 프랑스(-4.0%), 이탈리아(-6.5%), 스페인(-5.9%) 등 이번에 전망치가 공개된 11개 선진국 중 최고 수준이다. 기획재정부는 "실물경제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정도가 한국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의미"라며 "K-방역과 적극적 정책대응 등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의 한국의 대응을 높게 평가한 것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5.5%로 종전보다 0.3%포인트 높였다. 2021.01.27
    상세보기
  • 문 대통령, 시진핑 주석과 정상 통화···"시 주석 방한 위해 긴밀히 소통"

    문 대통령, 시진핑 주석과 정상 통화···"시 주석 방한 위해 긴밀히 소통"

    ▲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갖고 시 주석의 방한을 위해 계속 긴밀히 소통하기로 했다. 연합뉴스김민지 기자 kimmj7725@korea.kr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갖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어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조기에 방한이 성사될 수 있도록 양국이 계속 소통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9시부터 40분간 통화를 하면서 “시 주석께서 지난해 11월 왕이 국무위원을 통한 구두 메시지를 통해 변함없는 방한 의지를 보여준 것을 평가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시 주석은 문 대통령의 국빈 방문 초청에 사의를 표하며 “여건이 허락되는 대로 조속히 방문해 만나 뵙길 기대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양국 외교당국이 상시적 연락을 유지하고, 밀접히 소통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문 대통령은 대화를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에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시 주석은 “북한이 노동당 8차 대회에서 밝힌 대외적 입장은 미국, 한국과 대화의 문을 닫지 않았다는 것으로 본다”며 “한반도 정세는 총체적으로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양 정상은 2021년과 2022년을 ‘한중 문화교류의 해’로 선포했고,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풍성한 성과를 거두길 기원했다. 내년 한중수교 30주년을 앞두고 교류와 협력을 발전시키고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를 통해 향후 30년의 발전 청사진을 함께 구상해 나가자고 했다.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는 양국 전문가들이 모여 수교 30주년 계기 한중관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한 기구이다. 지난해 11월 26일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출범시키기로 합의한 바 있다. 2021.01.27
    상세보기
  • "한국식으로 저녁을 즐기는 쉬운 방법"…. 뉴욕타임스, 전 소개

    "한국식으로 저녁을 즐기는 쉬운 방법"… 뉴욕타임스, 전 소개

    ▲ 뉴욕타임스는 26일 한국식으로 즐기는 쉬운 방법' 제하의 글에 한국 전이 무엇이고 어떻게 만드는지 설명했다. 위는 막걸리와 전 사진. 코리아넷 DB이지혜 기자 jihlee08@korea.kr 뉴욕타임스(NYT)가 한국 '전(jeon)'을 자세하게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다. NYT는 26일 국제판(International Edition)에 게재한 '한국식으로 저녁을 즐기는 쉬운 방법 (An Easy Path to Dinner, by Way of Korea)' 제하의 기사에서 전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고 채소, 해산물 등 다양한 재료와 어울리는 음식이라고 소개했다. 기사에서는 전을 '한국 팬케이크 (Korean pancake)' 라고 표현하면서 "아주 기초적인 전을 만들기 위해서는 밀가루와 찬 물, 추가 재료 한 두 가지만 있으면 된다"고 했다. 이어 "빠르고, 조리가 아주 간단하고,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저렴하다 (quick, foolproof, adaptable and inexpensive)"고 설명했다. NYT는 전이 방과 후 간식, 가벼운 점심, 먹걸리와 함께 먹을 수 있는 안주로도 적합하다고 소개했다. 기사를 쓴 기자는 다양한 재료로 전을 만들어본 자신의 경험담을 소개하면서 "녹말 대신 밀가루를 쓰며 전이 더 가볍고 바삭해지고 달걀 흰자를 쓰면 전이 더 부풀고 달걀 노른자를 쓰면 더 부드러워진다"고 썼다. 또 "거의 모든 야채, 해물, 고기와 모든 종류의 밀가루를 사용해 만들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전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남은 야채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룻밤에 해결했다"고 전했다. 기사에서는 해물파전(haemul pajeon)과 녹두전(nokdu jeon), 동래파전(Dongnae pajeon) 등의 조리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NYT는 전과 전을 찍어 먹는 간장 조리법도 상세히 소개했다. 2021.01.26
    상세보기
  • 문 대통령, 기후적응 정상회의 참석···“2050 탄소중립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

    문 대통령, 기후적응 정상회의 참석···“2050 탄소중립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

    김혜린 기자 kimhyelin211@korea.kr영상 = 청와대 유튜브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기후 안심 국가를 향한 3차 기후 적응 대책을 마련해 올해부터 세부시행 계획을 세우고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기후적응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높이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네덜란드가 화상으로 개최한 ‘기후적응 정상회의(Climate Adaptation Summit 2021)’에서 이같이 말했다. 기후변화 적응은 현재 또는 앞으로 예상되는 기후 변화에 대응해 적합한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고, 피해를 완화 또는 회피하거나 주어진 기회를 이용해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지난해 다짐한 ‘2050 탄소중립’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이라며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 규칙을 마련해 실천하고,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디지털 혁신과 결합한 ‘그린 뉴딜’을 추진하는 한편, 그 경험과 성과를 세계 각국과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개발도상국의 기후적응 노력에도 힘을 보태겠다”며 “매년 진행해온 적응역량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발전시켜, 올해부터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과 공동으로 기후적응 아카데미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기후적응은 인간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지혜이자 인류가 기후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살아가기 위한 노력”이라며 한국은 파리협정 체결 전인 2009년 ‘국가기후변화 적응센터’를 지정하고 2010년부터 5년 단위의 기후적응 대책을 수립해 실천해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올해 5월 서울에서 열리는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에 대한 관심을 당부하면서 “기후위기 극복과 녹색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논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개최국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2021.01.26
    상세보기
  • 지난해 경제 성장률 -1%...홍남기 부총리 "선진국 중 역성장폭 가장 작아"

    지난해 경제 성장률 -1%···홍남기 부총리 "선진국 중 역성장폭 가장 작아"

    ▲ 한국은행은 지난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년 대비 -1.0%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연합뉴스이하나 기자 hlee10@korea.kr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대비 1.1% 성장했고, 연간으로는 전년대비 1.0% 감소했다고 26일 발표했다.지난해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으로 1분기(-1.3%)와 2분기(-3.2%) 연속 후퇴했지만 3분기 2.1%, 4분기 1.1%를 기록하며 반등했다.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작년 연간으로 경제규모 10위권내 선진국들이 -3%대에서 -10% 이상 역성장이 예상되는 데 비하면 우리는 그 역성장 폭이 훨씬 작았다"며 "선진국들보다 역성장 폭이 훨씬 작아 우리 경제가 위기에 강한 경제임을 다시 입증한 결과"라고 밝혔다.홍 부총리는 "지난 4분기 실물지표로 확인할 수 있었던 수출의 뚜렷한 개선흐름과 코로나 3차 확산에 따른 내수부진이 국내총생산 통계로도 고스란히 나타났다"며 "특히 비대면 수요가 급증하면서 우리 주력산업인 IT부문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기차, 바이오헬스 등 신산업 분야 수출도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59년만에 1년 4차례 추경을 편성한 정부 대응을 언급하며 "310조원 규모의 과감한 지원대책을 신속히 추진해 왔다"며 "그 결과 재정이 작년 성장에 큰 폭으로 기여하며 역성장을 완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1.01.26
    상세보기
  • 인니 한류팬, 재해 극복 성금으로 1억원 모아

    인니 한류팬, 재해 극복 성금으로 1억원 모아

    ▲ 인도네시아 한류팬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케이팝 그룹 이름을 내걸고 자연재해 성금 모금 펀딩에 나섰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NCT 팬클럽, 레드벨벳 팬클럽, 슈퍼주니어 팬클럽, 엑소 펜클럽, 블랙핑크 팬클럽, 방탄소년단 팬클럽이 제안한 펀딩 프로젝트. 정주리 기자 etoilejr@korea.kr사진 = 키타비사 누리집 갈무리인도네시아 한류 팬들이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를 겪고 있는 자국 국민들을 위해 재해 성금 모금에 나섰다. 25일 오전 10시(한국시간) 기준 현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키타비사(Kitabisa)’에서 재해 성금 모금에 참여한 한류 팬클럽은 9개로, 총 4만1889명이 12억5994만 루피아(한화 약 9928만원)를 모았다. BTS 팬클럽 '아미인도네시아'는 15일부터 남부 칼리만탄 지역 홍수 피해를 돕기 위해 1만9978명이 6억6826만 루피아(한화 약 5265만원)를 모아 가장 높은 모금액을 기록했다. 이어 엑소(EXO) 팬클럽 '엑소엘인도네시아'는 1만667명이 참여해 2억8474만 루피아(한화 약 2243만원)를 모금했다. NCT 팬 7653명이 1억6644만 루피아(한화 약 1311만원)를 달성했다.이외에도 슈퍼주니어 팬클럽 ‘엘프인도네시아’ 830명이 5774만 루피아(한화 약 455만원), 블랙핑크 팬클럽 ‘블링크인도네시아’ 861명이 3322만 루피아(한화 약 262만원), 트레저 팬클럽 '트레저메이커스인도네시아' 606명이 1587만 루피아(한화 약 125만원)를 모금했다. ▲ 지난 18일부터 시작된 ‘K-DRAMALOVERS’ 펀딩 참가자가 일주일만에 1000명을 넘어섰다.한국 드라마 팬들도 모금 행렬에 동참했다. 18일 K-드라마를 제목으로 내건 재해 모금 기부 프로젝트에는 1023명이 참가해 일주일만에 2324만 루피아(한화 약 183만원)를 모았다. 기부 참가자들은 ‘한우탁’(드라마 ‘당신이 잠든 사이에’), '한서준’(드라마 ‘여신강림’) 등 자신이 좋아하는 드라마 등장인물 이름과 함께 모금에 참여하고 있다. 2021.01.25
    상세보기
  • 손흥민, 2020 AFC 국제선수상 수상… 통산 4번째

    손흥민, 2020 AFC 국제선수상 수상… 통산 4번째

    ▲ 손흥민(토트넘 홋스퍼 FC)이 24일 2020년 아시아축구연맹(AFC) 국제선수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사진은 지난해 2월 2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열린 맨체스터 시티(맨시티)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경기 중 팀 두 번째 골을 넣은 뒤 세리머니를 하고 있는 손흥민. 연합뉴스오현우 기자 hyunw54@korea.kr손흥민(토트넘 홋스퍼 FC)이 2020년 아시아축구연맹(AFC) 국제선수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2015년과 2017년, 2019년에 이어 네 번째 수상이다. AFC는 24일 누리집을 통해 ‘아시아의 선택-2020 최우수 국제선수’ 투표 결과 손흥민이 25.03을 받아 남자 선수 부문 1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AFC 국제선수상은 AFC에 속하지 않는 프로팀에서 뛰는 아시아 출신 남자 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소속팀과 국가대표팀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축구팬(60%)과 전문가(40%) 투표 결과를 반영해 선정한다.손흥민은 2위에 오른 이란 국적 메디 타레미(Mehdi Taremi, FC 포르투)를 5.69점 차로 따돌렸다. AFC는 “손흥민은 해리 케인(Harry Kane)과 함께 놀라운 호흡을 보이며 토트넘에서 22골을 터트리는 등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손흥민이 지난해 10월 프리미어리그 이달의 선수상과, 2019~2020시즌 토트넘 올해의 선수상, 2020년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등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한편 손흥민과 함께 후보에 이름을 올렸던 이강인(발렌시아)은 7위에 자리했다. ▲ 아시아축구연맹(AFC)은 24일 손흥민(토트넘 홋스퍼 FC)을 2020년 국제선수상 수상자로 공식 발표했다. AFC 누리집 갈무리 2021.01.25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