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527

페이지 570 / 1253

  • 로이터, 기후 변화 대응 활동에 나선 한류 팬 조명···"지구를 위한 K-팝"

    로이터, 기후 변화 대응 활동에 나선 한류 팬 조명···"지구를 위한 K-팝"

    ▲ 전 세계 K-팝 팬들이 사회 문제에 관심을 드러내는 한국 아이돌들에게 영감을 받아 기후 변화 대응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톰슨로이터재단 누리집 갈무리세라 오켈리 기자 sarahoqelee@korea.kr영상 = 블랙핑크 공식 유튜브 채널최근 전 세계 K-팝 팬들이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주도하는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3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은 '지구를 위한 K-팝: 한국 스타들의 팬, 기후 변화 대응 활동에 참여' 제하의 기사에서 "젊고 기술 활용에 능한 K-팝 팬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기후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신은 기후 문제에 대응해 활동하고 있는 세계 각 국 K-팝 팬들을 소개했다. 방탄소년단(BTS) 팬들은 한국과 필리핀 등에 수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캠페인을 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수해 피해를 입은 인도 아삼 지역을 돕기 위한 모금 활동도 전개했다고 언급했다. 올 들어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가 잇따르고 있는 인도네시아에서는 BTS, 블랙핑크, 레드벨벳 등 K팝 현지 팬클럽과 한국 드라마 마니아들이 자발적으로 기부 대열에 합류해 약 1억원을 기부한 소식도 전했다. 로이터는 “K팝 팬들이 현 시대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은 북미에서 아시아에 이르는 K팝 팬들의 다양한 배경”이라고 분석하면서 "K팝 팬들은 사회 문제에 관심을 드러내는 한국 아이돌들에게 영감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기사에서는 대표적인 사례로 블랙핑크를 언급됐다. 블랙핑크는 지난해 12월 9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블링크(블랙핑크 팬클럽 이름) 주목! 기후변화에 대해 함께 배워 볼 시간’ (CALLING ALL BLINKS: CLIMATE ACTION IN YOUR AREA!) 영상을 공개했다. 올해 11월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UNFCCC COP26)에 대해 홍보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독려하기 위해서였다. 2021.02.04
    상세보기
  • 문 대통령, 바이든 미 대통령과 첫 정상통화···“한미 동맹 업그레이드”

    문 대통령, 바이든 미 대통령과 첫 정상통화···“한미 동맹 업그레이드”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통화를 가졌다. 연합뉴스박혜리 기자 hrhr@korea.kr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통화를 가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진행된 한미 정상통화를 마친 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관련 내용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방금 미국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통화를 하고 코로나, 기후변화, 경제 양극화 등 중첩된 전 세계적 위기 속에 ‘미국의 귀환’을 환영했다”고 밝혔다. 이어 “나와 바이든 대통령은 공동의 가치에 기반한 한미동맹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 하기로 약속했고, 한반도 평화는 물론 세계적 현안 대응에도 늘 함께하기로 했다”고 적었다. 문 대통령은 한미 동맹을 상징하는 구호인 “같이 갑시다!”로 글을 마무리했다. 이번 통화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시간 20일) 공식 취임한 후 14일 만에 이뤄졌다. 앞서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해 11월 12일 통화를 갖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페이스북 메시지를 통해 “한반도 평화는 물론 세계적 현안 대응에도 늘 함께하기로 했다”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통화 내용을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 페이스북 갈무리 2021.02.04
    상세보기
  • 미디어아트로 보여주는 한국···‘2021 딜라이트 서울’

    미디어아트로 보여주는 한국···‘2021 딜라이트 서울’

    서울 = 서애영 기자 xuaiy@korea.kr영상 = 최태순 기자, 이하늘 인턴기자 ghdi4695@korea.kr 12지신, 한글, 설화, 광화문···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서울을 테마로 하는 미디어 전시 ‘2021 딜라이트 서울(2021 Delight Seoul)’이 서울 종로구 인사동 복합문화공간 안녕인사동 내 인사센트럴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홀로그램 등을 활용한 11개 공간으로 구성됐다. 과거와 현재, 미래의 서울 풍경과 문화를 담고 있다. 한글, 설화 등 전통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광화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등 서울의 랜드마크도 영상으로 보여준다. 바코드를 통한 비대면 체험으로 과거와 미래를 넘나들 수도 있다. 코리아넷은 1일 색다르고 다채로운 이미지와 영상으로 '서울'을 표현한 이번 전시를 찾았다. ▲ 12지신의 숲(The Myth). 디자인실버피쉬 전시관에 첫 발을 들여놓으면 자욱한 안개와 어둠이 깔린 달빛 속을 지나 신비로운 12지신의 숲으로 입장한다. 입장권 구매 시 생년월일 등록한 바코드를 찍으면 12지신 중 나의 수호신이 웅장한 스크린에 등장하고 수호신의 특징이 프린트되어 나온다. ▲ 환영(Welcome to Delight). 서애영 기자 순간 순간 바뀌는 청사초롱의 빛은 서울 속으로 들어 온 것을 환영한다. 화려한 조명으로 이루어진 꽃길을 걷듯 설레는 마음으로 빛의 무대를 체험할 수 있다. ▲ 서울(Dynamic Seoul). 디자인실버피쉬 한낮에 드러나는 분주함, 밤이 되면 화려해지는 밤거리. 여기는 서울이다. ▲ 한글(Echo of Soul). 서애영 기자 한국인의 지혜가 응집한 한글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들어서면 실시간으로 찍은 관람객의 사진과 다양하게 연출되는 글귀가 몸을 타고 흐른다. ▲ 설화(An Olden Tale). 디자인실버피쉬 한국적인 이야기, 미디어 파사드 쇼를 통한 설화 속 바다다. 거울을 통해 설화 속 주인공이 된 나와 대면하며 동화 같은 공간에 자리한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다. ▲ 서울 이야기(The Story in Seoul). 서애영 기자 과거에 기록된 서울과 미래에 기록될 서울의 이미지로 재해석 한 미디어 파사드. 흑백 사진과 팝아트적인 색감의 콜라주로 시간의 경계는 사라지고 일상은 예술이 된다. 이번 전시는 6월 30일까지며 관람료는 1만2천~1만8천 원이다. 2021.02.04
    상세보기
  • 한국, 블룸버그 혁신 지수 1위 탈환

    한국, 블룸버그 혁신 지수 1위 탈환

    ▲ 미국 경제 매체 블룸버그가 발표하는 ‘블룸버그 혁신 지수’에서 한국이 다시 1위에 올랐다. 몰리나 엘리아스 기자 eliasmolina@korea.kr사진 = 블룸버그 누리집 갈무리미국 경제 매체 블룸버그가 발표하는 ‘블룸버그 혁신 지수’에서 한국이 다시 1위에 등극했다.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021년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우리나라는 90.49점으로 60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싱가포르(87.76점)가 2위에 올랐으며 3위는 스위스(87.60점), 4위는 독일(86.45점)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혁신지수는 연구개발(R&D) 집중도, 제조업 부가가치, 생산성, 첨단기술 집중도, 교육 효율성, 연구 집중도, 특허활동 등 총 7개 항목에서 매긴 점수를 합산해 국가 순위를 매긴다.블룸버그는 “팬데믹 방지를 위한 정부의 노력부터 경제를 다시 활성화하기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까지 코로나 대응이 불러온 혁신과 팬데믹을 멈출 백신 개발 여정 등을 반영했다”고 전했다.한국은 2014∼2019년 6년 연속 1위를 차지하다가 지난해 독일에 근소한 차이로 1위를 내준 바 있다.다른 주요 국가 순위를 보면 미국 11위, 일본 12위, 중국 16위 등을 차지했다. 미국과 중국의 순위는 지난해보다 하락했고, 일본은 같았다.기재부는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정부와 기업이 미래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확대하는 등 혁신성장을 중점적으로 추진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 블룸버그가 2일(현지시간) 발표한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한국이 1위를 차지했다. 2021.02.03
    상세보기
  • 박양우 장관,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정부간위원회 주재

    박양우 장관,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정부간위원회 주재

    ▲ 문화체육관광부 박양우 장관이 1일 화상회의로 열린 제14차 유네스코 문화다양성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이지혜 기자 jihlee08@korea.kr 제14차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정부간위원회가 6일까지 화상으로 열린다. 3일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에 따르면 박양우 문체부 장관은 의장으로서 1일부터 시작된 이번 회의를 주재한다. 한국은 개발도상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앞장선 점 등을 인정받아 지난해 2월 제13차 정부간위원회에서 의장국으로 선정됐다. 올해 정부간위원회에는 24개 위원국, 전 세계 149개 협약 비준국과 국제기구, 비영리단체 등이 참여했다.문화다양성 기금 현황 및 향후 방향, 디지털 환경에서의 문화다양성 협약 이행 등 18개 의제에 대해 논의한다.박양우 장관은 "이번 정부간위원회회의는 주요 의제에 대해 각국이 가진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고 직면한 과제와 향후 협력 방안을 국제적으로 논의하는 자리인 만큼, 의장으로서 소기의 성과를 이끌어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간위원회의는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을 목표로 하며 매년 열린다. 당초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화상회의로 바뀌었다. 2021.02.03
    상세보기
  • 이란, 한국케미호 선원 19명 석방 결정…외교부 "환영"

    이란, 한국케미호 선원 19명 석방 결정…외교부 "환영"

    ▲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호가 지난달 4일(현지 시각)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이란 혁명수비대 소속 함정들에 의해 나포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정주리 기자 etoilejr@korea.kr이란 정부가 약 한 달 동안 억류 중인 한국 선박 '한국케미호'의 선원을 석방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외교부가 2일 환영의 뜻을 표했다. 외교부는 이날 오후 최종건 외교부 1차관과 압바스 아락치(Abbas Araghchi) 이란 외교부 차관이 30분 동안 전화 통화했다고 공개하면서 "아락치 차관은 이란 정부가 선장을 제외한 나머지 선원(19명)들에 대한 억류를 우선 해제하기로 결정했음을 알려왔다"고 전했다. 이란 정부는 선박 관리를 위해 한국인 선장은 남겨두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최 차관은 이날 통화에서 석방 결정을 환영하면서 잔류 예정인 선장과 선박 또한 조속히 억류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이란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촉구했다.아락치 차관은 해양 오염에 대한 사법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선장에 대해 인도적 처우와 충분한 영사조력 보장을 약속했다. 한국케미호는 지난달 4일 해양 환경을 오염시켰다는 이유로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이란 혁명수비대에 의해 나포됐다. 배에 타고 있던 한국인 5명을 비롯해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국적 선원 등 20명이 이란 남부 반다르아바스항에 억류됐다. 한국 정부는 지난달 10일 최 차관이 이끄는 정부 교섭단을 이란에 파견하는 등 선원 석방을 위해 이란과 소통해왔다. 2021.02.03
    상세보기
  • 수출기업 매출 전망, 3년 4개월만에 만에 최대치

    수출기업 매출 전망, 3년 4개월만에 만에 최대치

    ▲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서 수출기업의 2월 매출전망지수는 100으로 3년 4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코리아넷 DB김혜린 기자 kimhyelin211@korea.kr 수출기업의 매출전망지수가 3년 4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서 수출기업의 2월 매출전망지수는 100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 달 전(89)보다 11포인트 오른 수치다. 수출기업 매출전망지수가 100을 넘은 것은 지난 2017년 11월(102) 이후 3년 4개월 만이다. 지난 2015년 3월 전월 대비 16포인트 오른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로 0에서 200까지의 값을 갖는다. 100이 넘으면 현재 경영상황과 전망이 긍정적이라고 답한 기업이 부정적이라고 답한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매출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수출기업이 최근 3년여 기간 중 가장 많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번 조사는 1월 12∼19일에 이뤄졌고, 전국 2,797개 법인기업이 (제조업 1,634개)이 응답에 참여했다. 2021.02.03
    상세보기
  • 한국을 빛낸 축구계 명장 ‘박항서 감독 기념메달’ 나온다

    한국을 빛낸 축구계 명장 ‘박항서 감독 기념메달’ 나온다

    ▲ 한국조폐공사는 지난 1일 서울 마포 사무소에서 ‘박항서 감독 기념메달’을 공개했다. 박항서 감독이 기념메달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여진 기자 lvzhen@korea.kr사진 = 한국조폐공사 박항서 베트남 축구대표팀 감독을 기념하는 메달이 한국과 베트남에서 동시에 출시된다. 한국조폐공사는 1일 서울 마포구 한국조폐공사 서울 영업개발처에서 박 감독이 참석한 가운데 ‘박항서 감독 기념메달’을 공개했다. 한국조폐공사는 베트남에서 축구로 국민 영웅이 된 박 감독의 업적을 기리는 차원에서 기념 메달 출시를 결정했다. 메달 앞면에는 박 감독과 축구팬들이 환호하는 모습을 담았고, 한국과 베트남 국기의 상징문양인 태극과 별을 잠상기술(위조 방지를 위해 보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도록 만든 기술)로 표현했다.뒷면에는 2018년도 아세안축구연맹 스즈키컵 결승전이 열린 베트남 하노이 미딩 국립경기장과 골 장면을 통해 박 감독과 베트남 선수단의 영광을 재현했다.금메달, 은메달에 한해 1일부터 14일까지 한국조폐공사 온라인쇼핑몰(www.koreamint.com)을 통해 사전 예약 접수한다. 가격은 금메달 159만원, 은메달 13만2000원, 보급형 1만3200원이다. 박 감독은 “이번 기념메달은 개인적으로 큰 영광”이라며 “한국과 베트남간 우호 관계를 더 돈독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사진은 ‘박항서 감독 기념메달’ 금메달 이미지. 2021.02.02
    상세보기
  • 김정숙 여사 ‘사랑의 온도탑 100도 달성’ 감사 영상

    김정숙 여사 ‘사랑의 온도탑 100도 달성’ 감사 영상

    ▲ 김정숙 여사는 1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진행한 ‘희망2021나눔캠페인’ 사랑의 온도탑 100도 달성을 이뤄낸 국민들에 대한 감사 인사를 영상으로 전했다. 사진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 여사가 지난해 12월 4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2020 기부 나눔단체 초청행사’에 참석해 성금을 기부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서애영 기자 xuaiy@korea.kr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는 1일 ‘희망2021나눔캠페인’ 사랑의 온도탑 100도 달성을 이뤄낸 국민들에 대한 감사 인사를 영상으로 전했다. 김 여사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모두가 힘든 시절 함께 이루어낸 기적의 100도”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면의 반대말은 비대면이 아니라 외면”이라며 “이웃을 외면하지 않고, 온기를 나누며 겨울을 이겨내고 있는 여러분은 봄을 기다리기보다 봄을 만드는 사람들입니다”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매년 진행하는 희망나눔캠페인은 목표 모금액 1%가 모일 때마다 사랑의 온도탑이 1도씩 올라간다. 올해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해 1월 31일까지 진행됐으며 최종 모금액 4,009억원을 달성해 최종 온도는 114.5도로 나타났다.김 여사는 故 이희호 여사, 권양숙 여사, 김윤옥 여사에 이어 현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명예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문 대통령과 김 여사는 지난해 12월 4일 ‘2020 기부 나눔단체 초청행사’를 통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비롯 14개 단체에 성금을 기부하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나눔을 실천하고 있는 우리 주변의 숨은 영웅들에 대한 감사를 전하기도 했다. 2021.02.02
    상세보기
  • 1월 수출 11.4% 증가…역대 2위

    1월 수출 11.4% 증가…역대 2위

    ▲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1년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월 총수출액은 480억1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1.4% 증가했다. 연합뉴스이하나 기자 hlee10@korea.kr지난 1월 한국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1.4% 증가했다. 총수출과 하루평균 수출도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1년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월 총수출액은 480억1천만 달러로 집계됐다.1월 수출 실적으로는 2018년 1월(492억 달러)에 이어 역대 두번째이며 지난해 12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두 자릿 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두 달 연속 두 자릿 수 수출 증가율은 2017년 8~9월 이후 40개월 만이다. 일평균 수출액은 21억 달러를 넘어서며 1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1월 수출 단가는 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29.9%)를 보였다. 고부가가치품목의 수출액 증가율은 시스템반도체 16.0%, 전기차 81.0%, OLED 52.1%, 의료기기 64.0% 등이다.주력 15대 품목 중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차부품, 철강, 선박,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가전,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등 12개가 증가했다. 2018년 10월 이후 가장 많은 품목이 증가했다. IT 관련 6개 품목 모두 3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21.7%)은 5개월 연속 두자릿 수 증가이며, 무선통신기기(+58.0%)와 디스플레이(+32.2%)는 각각 16년여, 10년여 만에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자동차(+40.2%)는 2017년 9월 이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바이오헬스(+66.5%)는 17개월 연속 증가했다. 석유화학(+8.6%)은 26개월 만에, 철강(+6.0%)은 4개월 만에 수출이 플러스로 반등했다. 지역별로 1월 수출은 중국시장(+22.0%), 미국시장(+46.1%), 유럽시장(+23.9%, EU 27개국 기준) 3대 시장 모두 20% 이상 증가했다. 특히 1월 미국시장 수출액(83억9천만 달러)은 월간 수출액 기준 역대 최고실적을 냈다. 2021.02.02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