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확인된 고대 한반도의 중심, 충주
역시 충주(忠州)는 유서깊은 고대 도시임이 거듭 확인됐다.최근 충북 충주시 호암동 지역의 돌무지나무널무덤(積石木棺墓,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에서는 세형동검(細形銅劍, Mirror with Slim Linear Design) 7점, 청동 잔줄무늬거울(多紐細文鏡, Korean Bronze Age Sword) 1점, 청동 도끼(銅斧, Bronze Axe) 1점 등 청동유물 19점이 출토됐다.▲ 충주시 호암동 일대에서 발굴된 청동유물들. 양질의 청동기와 권력을 과시하는 위세품인 잔줄무늬거울 등이 출토돼 충주지역이 고대 한반도의 주요 거점임이 재확인됐다.이번 발굴은 지난해 8월부터 중원문화재연구원이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을 조사하면서 이뤄졌다. 특히, 이번 조사에선 지하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나무관을 놓은 후 그 위를 돌로 채운 돌무지나무널무덤 1기와 나무널무덤(木棺墓, wooden coffin tomb) 2기 등 초기철기시대 무덤이 발굴됐다. 이 가운데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상․하 2단으로 굴착하여 관을 넣는 공간을 만들었으며, 하단의 공간에는 통나무관을 놓고 윗부분까지 강돌[川石, River Stone]로 내부를 완전히 채웠다. ▲ 출토 청동기 배치(맨위) 및 청동기 유물들.이번에 발굴된 무덤은 기원전 2;1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당시 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강력한 세력의 수장(首長, elder of a clan) 묘로 보고 있다.지금까지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주로 전라남도나 충청남도 지역에서 확인됐으나 충청북도에서 확인된 드문 사례다.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7종 19점에 달하는 청동유물은 그 수량과 종류에서 볼 때 국내 최대 수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은 전남과 경남 지역에서 출토됐을 뿐 충주지역에선 발굴되지 않았었다.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소장 김덕문 박사((Kim Derk moon)는 ;양질의 청동기가 대거 출토되었고, 특히 피장자의 높은 신분을 보여주는 위세품(威勢品, prestige goods)인 잔줄무늬거울의 출토는 의미 있다;며 ;상당한 영향력을 갖춘 집단의 지배자 또는 소국 국왕의 무덤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소장은 ;이번 유물출토는 기록엔 없지만 고대에도 충주지역이 남한강유역을 배경으로 거점역할을 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미발굴 지역이 많으므로 앞으로 추가발굴이 이뤄지면 고대문화의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글 위택환 코리아넷 기자사진 문화재청whan23@korea.kr 2015.01.21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