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MPEG 전송 기술, 차세대 표준으로 채택
한국이 개발한 'MPEG 미디어 전송(MMT) 기술'이 북미와 일본에서 차세대 디지털 방송표준으로 채택됐다.이 기술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삼성전자 등이 공동 개발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이용한 전송방식으로 앞으로 차세대 방송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개발한 'MPEG 미디어 전송(MMT) 기술'이 북미에 이어 일본에서도 차세대 디지털 방송표준으로 채택됐다.이와 관련해 일본 NHK는 지난달 28;31일 MMT 전용 전시관을 개설하고 이 기술을 적용해 방송망-인터넷망 간의 끊김 없는 전환 기능을 시연했다. NHK는 MMT 기술을 활용한 8K 디지털 방송서비스 '슈퍼 하이비전'의 시험방송을 내년부터, 본 방송을 2018년부터 각각 시작할 계획이다. 8K는 7,680;4,320 픽셀로 UHD(4K)보다 4배 더 선명한 화질을 표현하는 차세대 방송 기술이다.MMT는 멀티미디어 국제 표준화기구인 동영상 전문가그룹(Moving Pictures Expert Group, MPEG)이 공포한 전송표준으로 올해 초 북미에서도 차세대 디지털 방송표준으로 채택됐다.MMT의 도입으로 현재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초기 일정량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오래 기다려야 하는 문제나 서비스 도중 멈추거나 끊기는 현상 등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중국의 차세대 방송서비스 표준을 개발하는 상하이 교통대학도 MMT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다. 한국 내 UHD 방송의 표준으로도 MMT 도입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MMT의 도입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문제점인 지연현상이나 끊김 등의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임재언 코리아넷 기자사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jun2@korea.kr 2015.06.08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