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차세대 조선산업 거점도시로 육성'
▲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조선해양플랜트에 대해 참석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조선해양플랜트에 친환경 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울산을 차세대 조선산업의 세계 거점도시로 키워나가겠다"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서 강조한 말이다. 박 대통령은 울산의 미래와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에 대해 "창의와 혁신, 도전정신을 되살려 대한민국 조선해양플랜트 및 의료자동화산업의 요람으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박 대통령은 "지금 세계 조선업에서는 두 가지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오염물질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친환경 선박;, 정보통신기술(ICT)과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해 선박 안전과 운항 효율을 높이는 ;스마트선박; 등 두 가지에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 "울산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조선업계가 힘을 합쳐 특허 개방을 통해 업계 전반의 기술력을 제고하고 국제 표준화를 선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세터 의료자동화 생태존에서 암세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자동화 장비를 살펴 본 뒤, ;의료자동화산업;에 대해 서준범 서울아산병원 교수, 김진국 코어라인소프트 대표 등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담당할 또 하나의 축인 의료자동화산업에 대해 박 대통령은 "울산혁신센터를 첨단 의료자동화산업의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의료인, 창업가, 제조업체가 모두 참여하는 의료자동화 포털을 꾸려 아이디어 발굴부터 상품화까지 전 과정의 생태계 구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의료 로봇과 의료 서비스가 결합한 한국형 의료패키지 수출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울산시와 현대중공업 등은 유관 기관 및 기업은 친환경 선박 및 스마트 선박 개발과 의료자동화산업 육성을 위해 1,600억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 자금은 관련 기술을 개발할 ICT기업과 기자재업체 등에 지원된다. 이와 함께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기업들은 보유 특허 2,500건을 중소 조선소와 기자재업체에 제공해 친화경 선박과 스마트 선박 개발에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된다.이승아 코리아넷 기자사진 청와대slee27@korea.kr▲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참석자들과 함께 울산대학교에서 열린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을 알리는 ;울산창조경제호;의 스로틀 레버 손잡이를 위로 올리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내 ;마루(MARU) 180 원격 창업지원존;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서울 역삼동 ;마루180; 투자자들과 화상으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내 ;마루(MARU) 180 원격 창업지원존;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5.07.16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