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들의 여름 보양식, 박물관에 차려지다
▲ 관람객들이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특별전 ;여름나기- 맛, 멋, 쉼;에서 삼계탕, 어만두 등 더위를 나기 위해 섭취했던 여름 보양식들을 관람하고 있다.에어컨, 선풍기도 없던 옛 시절, 한국 선조들은 어떻게 그 무더운 여름을 이겨냈을까.20일 서울 경복궁내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개막한 특별전 ;여름나기- 맛, 멋, 쉼;이 그 궁금증을 해결해준다. 더위를 즐기는 ;맛;, 삶의 모습을 담은 ;멋;, 그리고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쉼;을 주제로 한 이 전시는 여름을 이겨낸 선조들의 지혜를 조명한다.아궁이에 불을 떼고 밥을 짓고 있는 어머니의 영상이 방문객들을 맞이하는 ;맛;의 공간 ;부엌;에 들어서면 칼질소리, 보글보글 맛있게 끓는 소리로 가득하다. 이 공간에서는 민어 살을 얇게 포 떠서 만두피로 쓰고 그 안에 쇠고기 버섯 등 채소를 넣은 ;어만두;를 비롯해 삼계탕, 민어탕 등 조상들이 더운 여름에 원기를 보충하기 위해 먹던 음식들이 조리도구 유물에 담겨 전시된다.특히, 조리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영상은 시각적 재미와 이해를 더한다. 또한 1670년경 최초의 한글 음식 조리서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과 여름에 담그는 술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각방별양;이 전시된다.▲ 관람객들이 손을 대면 여름 보양식을 요리하는 과정이 영상으로 재현되는 미디어 테이블을 확인하고 있다.▲ 특별전 ;여름나기- 맛, 멋, 쉼;은 다양한 영상들을 통해 옛 여름 보양식을 소개한다.부엌을 지나 ;멋;의 공간인 ;한옥 대청마루;에서는 부엌에서 만들어진 민어매운탕, 오이냉국, 열무김치 등 각종 여름 보양식들이 도자, 유리, 금속으로 제작한 식기와 소반 안에 한 상 가득 차려 있다. 열을 열로써 다스린다는 고사성어 ;이열치열;처럼 당시 더위로 허해진 기운을 보강하기 위해 뜨거운 국을 먹는 ;복달임; 풍습을 영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 영상에서는 다양한 여름 보양식이 조리 과정 끝에 9개의 상에 차려진다.마지막으로 ;쉼; 공간은 박물관 야외에 있는 250년 된 한옥 ;오촌댁;에 마련됐다. 이곳에서는 식기, 화분 등의 생활 속 공예작품들을 전시한다. 요리사와 함께 초계탕, 콩국수, 우무 냉국, 화채 등 여름 음식을 직접 만들고 맛볼 수 있는 프로그램도 진행될 예정이다.▲ 관람객들이 최초의 한글 음식 조리서 ;음식디미방;을 보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야외공간에 마련된 한옥 ;오촌댁;에는 음식을 담고, 조리하던 식기와 화분 등 생활 속 공예작품들이 전시돼있다.▲ 관람객들이 옛 조상들이 사용한 식기들을 살펴보고 있다.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은 ;단지 보여주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에게 조리 과정을 보여주고 참여를 통해 이해하고 함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여름나기- 맛, 멋, 쉼; 전시는 8월 22일까지 계속되며, 별도의 관람료는 없다.손지애 코리아넷 기자사진 국립민속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 전소향jiae5853@korea.kr 2016.07.21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